
총 20개
-
간농양 pcd2024.09.171. 간농양(Liver Abscess) 1.1. 간농양의 정의와 특성 간농양(liver abscess)은 정상인의 간에서는 미생물이 살지 못한다. 우연히 세균이나 기생충 등이 들어오더라도 즉각적으로 면역 세포들이 공격하고 제거하여 미생물이 간에서 자리잡고 증식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거나 항암화학요법을 포함한 면역억제치료로 인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 담도의 악성 종양 등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에 변화가 발생한 환자, 혹은 드물게 정상인에서도 세균이 이러한 방어를 뚫고 간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2024.09.17
-
시뮬레이션 위수술 시나리오2024.09.291. 부분 위절제술 후 간호 1.1. 부분 위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관리 부분 위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관리는 다음과 같다. 수술 후 초기 단계에서는 환자의 활력징후 변화와 호흡, 배출, 식이 등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4시간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측정하여 수술 후 합병증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다. 또한 8시간 간격으로 섭취량과 배설량을 파악하여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수술 후 환자는 무기폐, 폐렴 등의 호흡기 합병증 위험이 높으므로 심호흡 및 ...2024.09.29
-
간호 sim 대본2024.09.111. 간호 시뮬레이션 1.1. 시나리오 흐름도 제공된 시나리오 흐름도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나리오 흐름도에서 초기 단계에는 환자인 나췌장님이 침대에 있으며 배를 움켜쥐고 있는 상태이다. 간호사는 먼저 환자의 이름을 확인하고, 통증 사정과 출혈성 췌장염 사정을 위해 Turner's sign과 Cullen's sign을 확인한다. 또한 과거력 및 복용 약물도 사정한다. 이후 환자의 활력징후와 통증 점수(NRS 6점)를 측정하고, 심한 통증과 오심/구토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의사에게 상태를 보고하고, 처방에 따...2024.09.11
-
소장천공 케이스2024.10.061. 서론 1.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소장천공으로 인한 통증과 감염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한 간호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소장천공 환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력, 진단검사 결과와 약물치료 등을 사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증관리, 감염예방 등의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1.2. 사례 연구 개요 사례 연구 개요는 다음과 같다. 연구 목적은 실습한 병동이 신장내과와 외과 환자가 있는 병동이었는데, 성인간호A는 소화기계 내용이어서 케이스를 찾다 보니 소장천공을 연구하게 되었고, 대상자가...2024.10.06
-
penrose drain 적응증2024.11.031. 배액관의 기본개념 1.1. 배액관의 정의 배액관은 "신체의 빈 공간이나 상처부위, 수술 및 시술 부위의 부종,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공기, 혈액, 혈장, 조직의 파편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배액관은 상처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수술 및 시술 후 삼출물 배액과 출혈을 관찰하며, 수술 후 고인 삼출물을 배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1.2.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상처 부위 회복에 방해가 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것", "수술 및 시술 후 삼출물 배액과 출혈 관찰", "수술 후 상처 또는 체내에 ...2024.11.03
-
Gallbladder cancer with liver invasion2024.10.271. 용어 및 약어 약어 용어 의미 AGC Advanced gastric cancer 진행성 위암 CBD Common bile duct 총담관 EGC Early gastric cancer 조기 위암 EGD Endoscopic gastroduodenoscopy 위-십이지장 내시경 EST Endoscopic sphincterectomy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내시경 초음파 검사 GB Gallbladder 담낭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위식도...2024.10.27
-
Pcd pcn2024.09.191. 배액관의 개요 1.1. 배액관 삽입의 목적 배액관 삽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수술창상(operative wound)부위로부터 염증 유발 물질인 pus, blood, other fluids(lymph) 등을 배출함으로써 감염의 경로를 차단하고 체내 축적을 방지한다."" 둘째, 체내 고여 있는 분비물의 배액을 위함이다. 수술 후 문합부의 누출(anastomotic leak)이나 출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해 상처로부터 배액을 실시한다."" 셋째, 수술 및...2024.09.19
-
천두술 케이스2024.09.141. 서론 1.1. 문헌고찰 천두술(Trephination)은 두개골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수술을 일컫는 것으로, 뇌에 발생한 출혈 및 경색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두개골에 burr hole을 만든 후에 이를 통해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관을 통해 배출하는(EVD) 수술을 의미한다. 경막 밑에 고인 피를 제거하거나, 뇌실질에 출혈을 제거하고 뇌실 내에 출혈을 제거하기도 하며, 상승되는 뇌압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천두술의 주된 적응증은 피를 밖으로 빼내는 경우로, 경막 밑에 피가 고인 경우, 뇌실질에 출혈이 ...2024.09.14
-
A 극찬 성인 췌장암 케이스스터디2024.10.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췌장암(pancreatic cancer)의 경우, 5년 생존율이 15% 미만에 불과할 만큼 예후가 극히 불량한 악성 종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낮아 위암이나 간암 등 호발 소화기암에만 주된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조기 진단이 어려운 췌장암 특성상 주변 림프절이나 간 전이가 발생하거나 주요 혈관과 구조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상태가 악화되기도 한다. 이에 본 사례 연구는 이 질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증가시키는 전환점이 되고 치료 중인 대상자 및...2024.10.30
-
수술실실습일지2024.10.251. 수술실 실습 개요 1.1. 수술실 구조와 역할 수술실은 수술실, 소독 및 세척실, 회복실, 당직실, 의사 갱의실, 간호사 갱의실, 오물처리실, 소독 물품 보관실, 마취과 준비실, 마취과장실, 물품 보관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실은 수술이 진행되는 곳으로, 의사와 간호사가 수술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수술실에는 3번방, 5번방, 7번방, 8번방, 9번방, 10번방, 11번방, 12번방, 응급수술방이 있으며, 6번방은 마취과 준비실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수술을 위한 여러 개의 수술방이 수술실에 마련되어 있다. ...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