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PPPD 간호과정2024.09.101. 대상자 정보 1.1. 일반적 사항 전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 이름은 안**이며, 70세의 여성 환자이다. 입원당시 주소는 황달이었고, 발병일시는 3월 17~18일 경이다. 진단명은 폐색성황달, 췌장암, 심방세동, Type2 DM이다. 입원날짜는 2019.3.22이며, 수술명은 Pylor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수술날짜는 2019.4.3이다. 입원기간은 2019.3.22~이며, 자료수집일은 2019.4.2~이다. 결혼상태는 사별, 교육수준은 대졸, 직업은 무직, ...2024.09.10
-
담낭염 담석증2025.01.141. 서론 1.1. 담낭염과 담석증의 정의 및 원인 담낭염(cholecystitis)은 담관의 폐쇄에 따른 이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급성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을 일으킨다. 만성 담낭염은 담석이 지속적으로 담낭벽을 자극할 경우 발생한다. 담석증(cholelithiasis)은 담즙 내 구성 성분이 담낭이나 담관 내에서 응결, 침착되어 형성된 결정성 구조물(담석)로 인해 ...2025.01.14
-
수술실실습일지2024.10.251. 수술실 실습 개요 1.1. 수술실 구조와 역할 수술실은 수술실, 소독 및 세척실, 회복실, 당직실, 의사 갱의실, 간호사 갱의실, 오물처리실, 소독 물품 보관실, 마취과 준비실, 마취과장실, 물품 보관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실은 수술이 진행되는 곳으로, 의사와 간호사가 수술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수술실에는 3번방, 5번방, 7번방, 8번방, 9번방, 10번방, 11번방, 12번방, 응급수술방이 있으며, 6번방은 마취과 준비실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수술을 위한 여러 개의 수술방이 수술실에 마련되어 있다. ...2024.10.25
-
A 극찬 성인 췌장암 케이스스터디2024.10.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췌장암(pancreatic cancer)의 경우, 5년 생존율이 15% 미만에 불과할 만큼 예후가 극히 불량한 악성 종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낮아 위암이나 간암 등 호발 소화기암에만 주된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조기 진단이 어려운 췌장암 특성상 주변 림프절이나 간 전이가 발생하거나 주요 혈관과 구조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상태가 악화되기도 한다. 이에 본 사례 연구는 이 질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증가시키는 전환점이 되고 치료 중인 대상자 및...2024.10.30
-
기본간호학 지침서2025.02.241. 서론 1.1. 기본간호학 지침서의 필요성 기본간호학 지침서는 대상자의 신체검진과 기본적인 간호중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여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중증도가 높은 대상자나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기본간호학 지침서는 대상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1.2. 주...2025.02.24
-
수술 감염위험성2024.08.201. 서론 1.1. 간호사정의 중요성 간호사정은 환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간호중재를 수립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술을 받는 환자의 경우 수술 전후 감염 위험이 높아 이를 사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간호사정을 통해 환자의 주관적, 객관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수술 관련 감염 위험성을 진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중재를 시행함으로써 감염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정은 환자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사정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를...2024.08.20
-
A+받은 위암 케이스 스터디입니다2024.11.031. 서론 1.1. 위암의 중요성 우리나라에서 갑상샘암을 제외하고 남녀 모두에서 위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발생률은 전체 암 발생의 11.6%(2위), 남녀 성비는 2:1로 남자가 더 많았다. 위암의 생존율은 77.5%이며, 후기에는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경우가 흔하다. 암은 초기 발견이 중요한 만큼 사례연구를 통해 증상에 대해 더 공부하고, 대상자가 최대한 빨리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사례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2. 간호의 필요성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 하나로, 전체 암 발생의 ...2024.11.03
-
ptbd ptgbd 간호2025.04.031. 배액관 개요 1.1. 배액관의 정의 배액관이란 신체의 빈 공간이나 상처부위, 수술 및 시술 부위의 부종,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공기, 혈액, 혈장, 조직의 파편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는 상처 부위 회복에 방해가 되는 것들을 제거하고, 수술 및 시술 후 삼출물 배액과 출혈 관찰, 수술 후 상처 또는 체내에 고여있는 삼출물 배액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배액의 양, 색깔, 냄새, 농도에 따라 장액성, 혈액성, 화농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액관의 종류에는 Hemovac/Barovac, PTBD & PTGBD,...2025.04.03
-
통합시물레이션2024.08.301. 환자 사정 1.1. 상황 확인 환자 개요에 따르면, 여자 28세 김OO님은 충수염으로 입원한 환자이다. 응급실 내원 시 복부통증과 식은땀을 호소했으며, 활력징후가 120/80-90-37.6-26으로 확인되었고 NRS 통증 척도 결과가 8점으로 측정되었다. 충수염 제거를 위해 충수절제술을 받고 병동에서 회복 중이다. 통증으로 인해 심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수술 후 통증 사정과 신체 사정을 통해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다. 1.2.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은 대...2024.08.30
-
Gallbladder cancer with liver invasion2024.10.271. 용어 및 약어 약어 용어 의미 AGC Advanced gastric cancer 진행성 위암 CBD Common bile duct 총담관 EGC Early gastric cancer 조기 위암 EGD Endoscopic gastroduodenoscopy 위-십이지장 내시경 EST Endoscopic sphincterectomy 내시경적 괄약근 절개술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 내시경 초음파 검사 GB Gallbladder 담낭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위식도...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