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Pcd pcn2024.09.191. 배액관의 개요 1.1. 배액관 삽입의 목적 배액관 삽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수술창상(operative wound)부위로부터 염증 유발 물질인 pus, blood, other fluids(lymph) 등을 배출함으로써 감염의 경로를 차단하고 체내 축적을 방지한다."" 둘째, 체내 고여 있는 분비물의 배액을 위함이다. 수술 후 문합부의 누출(anastomotic leak)이나 출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해 상처로부터 배액을 실시한다."" 셋째, 수술 및...2024.09.19
-
CHEST TUBE2024.11.191. 흉관 삽입 및 관리 1.1. 흉관 삽입의 목적 흉관 삽입의 목적은 유연한 배액관을 늑막강 내로 삽입하여 혈액, 체액, 공기 등을 배출시킴으로써 폐가 최대로 팽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늑막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혈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음압을 유지하고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폐엽 절제술이나 외상 등으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체액이 고이는 경우 흉관을 삽입하여 배액함으로써 종격동의 변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고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1.2....2024.11.19
-
기흉 케이스스터디2025.01.181. 서론 1.1. 기흉 정의 및 원인 기흉이란 가슴막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기흉의 가장 큰 원인은 가슴막 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가슴 수술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외상이다. 가슴막 천자, 가슴 수술, 양압 환기 등의 의료행위 과정에서 가슴막이나 폐가 손상되어 공기가 가슴막강으로 유입되면서 기흉이 발생한다. 또한 폐결핵,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만성 폐질환에서도 원인 불명의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기흉은 의인성 요인과 병적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1...2025.01.18
-
기흉과 혈흉 치료법 및 관리2025.01.191. 서론 1.1. 흉곽 해부와 생리 정상적인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운반하는 한 가지 기능을 하는 액체로 채워진 기관이다. 심장은 종격동에 위치해 있으며 신체의 변화 요구에 적응한다. 종격동은 기도, 식도, 대동맥과 주요 혈관과 구조들을 에워싸고 있다. 폐는 엽으로 구분되는데 오른쪽 폐는 3개의 엽, 왼쪽 폐는 2개의 엽으로 되어 있다. 흉곽은 밀폐된 곳으로 혈관과 기관지를 통해 종격동에 연결되어 있다. 밀폐된 폐는 횡격막과 종격동에 인접하여 있다. 폐를 둘러싼 흉벽은 sternum에 연결된 흉벽 어느 한쪽의 늑골을 함유하고 있...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