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배종기 배아기 태아기2024.09.211. 생명의 시작과 태내발달 1.1. 수정과 착상 수정이란 남성의 정자와 여성의 난자가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정자는 남성이 사정할 때 1회에 4-5억 개 정도가 배출되며, 사정 후 48-72시간 정도를 생존한다. 난자는 성숙한 여성에게서 매달 한 개씩 배출되며, 인체 내에서 가장 큰 세포로서 24시간 정도를 생존한다. 정자가 난자에 착상되어 임신이 되면 모체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난다. 우선 매월 정기적으로 나타나던 월경이 사라지며, 입덧을 하게 되어 식욕이 떨어지고 구토와 오심,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유선이 ...2024.09.21
-
여성건강관련정책보고서2024.10.071.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사업 정책에 대한 고찰 1.1. 서론 지난해 대한민국 합계출생률은 0.98명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에서도 꼴찌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초저출산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2006년부터 '불임부부 지원 사업(난임 부부 지원 사업 2011) 정책을 도입하였다. 이 사업은 체외수정, 인공수정 등 인공생식술의 시술비를 지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여 출산장려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가적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24.10.07
-
BBC 임신과 출산 감상문2024.10.011. 소개 이 다큐멘터리는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담고 있다. 단 한 번의 사정으로 5억 마리의 정자가 배출되지만, 실제 임신이 되는 경우는 매우 적다고 한다. 임신이 되어도 배아의 5/6가 자궁 속에서 죽는 등 임신과 출산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30대 부부의 임신과 출산 과정을 실제로 보여준다. 배란 과정에서 난자가 나오는 장면부터 수정, 배아 발달, 태아 성장, 분만까지 임신과 출산의 전 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단순히 이론적인 설명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례를 통해 생생...2024.10.01
-
모성간호 태아발달2024.09.221. 태아의 발달과 성숙 1.1. 배아기 1.1.1. 배아 전 시기 난소에서 난자가 수란관으로 나오는 배란이 되면 수란관 앞부분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진다. 이 수정란은 난할을 하면서 자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정이 일어난 지 일주일정도가 지나면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달라붙는다. 이를 임신이 되었다고 한다. 착상이 되면 태반이 만들어져 태아와 모체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이루어진다. 태아발달은 수정후의 나이를 사용한다. 태내발달은 배아 전, 배아, 태아의 3단계로 나뉘어 진다. 배아 전 시기에는 세포증식, 배포형성, 배...2024.09.22
-
해부생리학 정리본2024.10.131. 인체의 해부생리 1.1. 인체의 발생 인체는 세포(cell), 조직(tissue), 기관(organ), 계통(system)으로 구성된 구조적 단위이다. 세포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형태 및 기능상의 단위이며, 조직은 세포간질(intracellular substance)과 기능이 비슷한 세포들이 모여 배열된 집단이다. 기관은 여러 종류의 조직이 모인 것이며, 계통은 복합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의 집합체이다. 몸은 한 개의 난자(ovum)와 정자(sperm)가 결합하여 수정란(fertilized ovum)을 이룬 후, 착상하여(i...2024.10.13
-
여성건강간호학 정상 임신 간호 태아 건강사정2024.10.101. 정상 임신 간호 1.1. 임신생리 1.1.1. 임신력과 출산력 Gravida는 임신한 여성(임부)을 의미하며, Gravidity는 임신력을 나타냅니다. Primigravida는 처음으로 임신한 여성(초임부)이고, Multigravida는 두 번 이상 임신한 여성(다임부)을 말합니다. 반면 Nulligravida는 임신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여성(미임부)을 의미합니다. Para는 생존능력이 있는 아이를 출산한 경력이 있는 여성으로, 20주 이상 태아를 출산한 여성을 말합니다. Nullipara는 20주 이상 태아를 한 번...2024.10.10
-
구강조직학2024.09.281. 조직학 개론 1.1. 광학현미경용 조직표본 제작법 광학현미경용 조직표본 제작법은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 거치는 일련의 과정이다. 먼저 고정 단계에서는 조직을 세균에 의한 파괴와 자가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0% 포르말린 용액에 즉시 고정한다. 그다음 수세 단계에서는 잘라낸 조직편에 묻어있는 고정액을 물로 깨끗이 씻어내고, 탈수 단계에서는 조직 내의 수분을 차례로 에탄올로 제거한다. 이후 조직을 얇게 절단할 수 있도록 파라핀에 침투시켜 포매하고, 절편기를 이용해 약 1~20㎛ 두께로 얇게 자른다. 마지막으로 핵은 Hematox...2024.09.28
-
정자제공자는 태아부양 의무가 있는가2024.11.091.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윤리적 문제 1.1. 난임 현황 1.1.1.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및 난임 진단자 수 현황 우리나라 합계출산율(TFR)은 2012년 1.3으로, 2005년 1.08이라는 최저점을 기록한 후 서서히 회복되고 있으나 여전히 OECD 국가(2010년 평균 1.74) 중 최저 출산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15~39세 유배우 가임여성 가운데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이 되지 않는 일차성 난임의 비율은 약 13.5%(2004년)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 난임 진단자 수는 2005~2011년...2024.11.09
-
난임치료 윤리적 문제2024.11.071. 난임(불임)의 이해 1.1. 난임의 원인 난임의 원인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난관 폐쇄 및 유착, 자궁경부 염증, 자궁내막증, 복강 내 유착 등의 불임 요인들이 있으며, 배란 장애와 면역학적 요인들로 인한 불임도 발생한다. 남성의 경우에는 희소정자증, 기형정자증, 폐쇄성 및 비폐쇄성 무정자증 등 정자 생성 장애와 정자 분비 장애가 주된 원인이다. 이 외에도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불임 환자들도 많다. 일반적으로 난임의 원인은 여성과 남성 각각 30-40%씩 차지하며, 나머지 20-40%는 ...2024.11.07
-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한 논의2024.12.311. 서론 태아란 "임신 초기부터 출생 시까지의 임신된 개체를 의미한다." 이때 수정 후 2주 후부터 8주까지는 배아, 그 이후부터 출생할 때까지는 태아로 부른다. 의학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만나서 수정된 후 세포분열을 하는 3주∼8주까지는 태아가 아닌 배아라고 부르고 그 후 9주부터 출산까지를 태아라고 부르지만, 법학에서는 이에 대한 법률가 간의 의견이 일치되지 않고 있다. 민법 제3조에 따르면,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이에 따르면, 사자(死者)는 생존한 상태가 아니므로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없음...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