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생활시설과 근린시설2024.09.221. 근린생활시설 계획 1.1. 계획 목표 근린생활시설은 주거기능과 기타 기능이 복합된 병용건물 형태로, 저층부에 생산 및 상업기능이 주기능이 되며 상층부에 주거기능이 결합되는 건물이다. 이러한 근린생활시설의 계획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린생활시설을 저층부에 배치하여 기능을 구분하고, 상층부에 주거를 계획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층부 이용동선과 상층부 이용동선을 구분하고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수직동선은 기능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소규모 층수일 경우 별도의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할 수 있다. 셋째,...2024.09.22
-
특별관리시설물 화재2024.10.211. 서론 전통시장은 화재사고가 발생했을 시 대형화재로 이어져 사회적 충격과 영향을 미치게 되어 지역경제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기에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전통시장은 건축물, 소방, 전기를 포함한 시설물의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의 위험성이 크므로 이러한 화재사고의 예방·방지를 위하여 건축물, 소방, 전기에 대한 시설물의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전통시장의 화재는 물리적, 정신적 피해와 함께 막대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기에 화재사고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전...2024.10.21
-
건축물의 화재를 방어할 수 있는 구조를 서술하세요2025.01.101. 서론 건축물에서 화재는 심각한 위협 요소이며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화재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내화구조와 방화구획은 화재 발생 시 화염의 확산을 제한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구조적 요소이다. 우리나라의 화재안전기준은 건축물의 내화구조 시공을 의무화하고, 방화구획의 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건축물의 화재를 방어할 수 있는 내화구조와 방화구획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2. 건축물의 화재를 방어할 수 있는 구조 2.1. 내화구조 2.1.1. 건축...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