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수문사 성인간호학 순환2024.09.1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위치와 크기 심장의 위치와 크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몸통 중심부에 위치하며, 심장의 2/3 정도는 왼쪽에, 1/3 정도가 복장뼈 중앙선에서 오른쪽에 위치한다. 심장 위 끝의 넓은 부위를 심장바닥(심저부, base)이라 하며, 아래 끝은 왼쪽 앞에 있어 심장 꼭대기(심첨부, apex)라고 한다. 성인의 정상적인 심장 크기는 넓이 약 9cm, 길이 약 12cm, 두께 약 6cm이며, 무게는 약 300g 정도이다. 이는 대략 성인의 주먹 크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1.2. 심낭(Perica...2024.09.17
-
심전도 부정맥2024.09.181. 부정맥 1.1.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1.1. 동성빈맥 동성빈맥이란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의 한 종류로, 정상 동성 리듬과 동일하지만 심박동수가 빠르게 나타나는 부정맥이다. 동성빈맥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 동성 리듬과 동일한 형태를 보이지만 심박동수가 100회/분에서 180회/분 사이로 빠르게 나타난다. 둘째, P파는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나 T파에 묻혀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셋째, PR간격과 QRS파형은 정상 범위를 보인다. 넷째, 리듬은 규칙적이다. 동성빈맥의 원인은 다양한데...2024.09.18
-
심장의 구조와 기능2024.09.24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정의 및 위치 심장은 가슴의 왼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된 기관으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심장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하게 해주며, 1분에 60~100회정도 수축한다.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중심선에서 좌측에 치우쳐 있다. 크기는 12 cm 정도의 자기 주먹만하며 무게는 약 300 g이다. 1.2. 심장의 내부 구조 1.2.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 들어온 정맥혈을 받아들인다....2024.09.24
-
비정상 심전도2024.11.081. 심전도의 이해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심장은 골격근과 유사한 점이 많은 특수한 심근 섬유로 짜여진 근육이다. 정상 심장은 각자의 움켜진 주먹 2개 정도(무게는 250 ~ 300g)의 크기이다. 두 겹의 심낭막(심장막)에 싸여 있으며 횡격막의 위에 있고, 기관·식도·하대정맥의 앞쪽과 폐 사이에 위치한다. 앞쪽은 흉골과 늑골에, 옆쪽은 흉막에 단단히 붙어 있다. 심장을 싸며 심장과 붙어 있는 부분을 장측 심낭막이라 하고, 폐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을 벽측 심낭막이라고 한다. 이 두 막 사이...2024.11.08
-
성인간호학심장구조와기능2024.11.091. 심장의 구조 1.1. 심장의 위치와 크기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있는 근육기관으로서 신체의 중심선에서 좌측에 치우쳐 있다. 크기는 약 12cm 정도의 성인의 주먹만하며 무게는 약 300g 정도이다. 심장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한다. 즉, 심장은 흉곽의 중앙부에 있는 장기로,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이 연결되는 우심방 부위가 약간 오른쪽에 있고, 좌심실의 심첨부가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위치는 좌측 흉곽 내에 있으며, 상하로는 제2~제...2024.11.09
-
부정맥 간호2024.10.211. 부정맥 개요 1.1. 정의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박동 리듬의 이상으로, 일반적으로 심박동수의 비정상적인 증가 또는 감소, 리듬의 불규칙성을 의미한다. 즉, 부정맥이란 정상 동성 리듬 이외의 심장 박동 양상을 말하는 것이다." 1.2. 발생 원인 부정맥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심장 자체에 병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심근 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장병이 있으면 부정맥이 올 수 있다. 또한 승모판 협착과 같은 판막 질환 등 거의 모든 심장병은 부정맥의 원인이 된다. 허파의 병과 자율 신경에 이상이 있거나 약물의 부작용으...2024.10.21
-
기본 심전도 해석 및 간호, 성인간호학 EKG 문헌고찰2024.12.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는데, 구체적으로 오른쪽과 왼쪽에는 각각 심방과 심실이 있다"" 심장은 총 4개의 심장 방(chamb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심장의 위쪽 부분으로, 정맥혈을 받아들이는 곳이다"" 정맥으로부터 유입된 정맥혈은 우심방에 모여 있다가 삼첨판을 통해 우심실로 이동한다"" 좌심방(left atrium)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들여 좌심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2024.12.16
-
심전도 해석 및 간호: 심장 구조와 리듬 분석2024.12.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적인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의 부분에는 심방과 심실이 있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심장의 위쪽 부분으로, 체순환을 마친 혈액을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받아들이는 곳이다."" 우심실(Right ventricle)은 우심방에서 전달받은 혈액을 폐동맥을 통해 폐순환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좌심방(Left atrium)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을 받아들인다."" 좌심실(Left ventricle...2024.12.16
-
case study 동기능 부전증후군2024.10.301. SSS(동기능부전증후군, Sick sinus syndrome)의 병태생리 1.1. SSS(동기능부전증후군, Sick sinus syndrome)이란? SSS(동기능부전증후군, Sick sinus syndrome)이란 정상맥이 긴 동휴지기(sinus pause), 또는 동정지(sinus arrest)와 함께 증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동방결절에서 전기신호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생기는 부정맥이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발생 빈도가 높다. 정상적으로 심장(심방과 심실)은 공동의 작업을 통해 수축이 이루어지는데, 심장의 동방결절(s...2024.10.30
-
병태생리학 문제2024.11.201. 병태생리학 - 퀴즈 10문제 제출 1.1. 심장의 전도 시스템 심장의 전도 시스템은 심장 내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자극의 전달 경로를 말한다. 이는 심장 박동의 규칙적 수축과 이완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심장의 전도 시스템은 동방결절(SA node), 방실결절(AV node), 히스다발, 푸르킨예섬유로 구성된다. 동방결절은 심방에 위치하며 자발적으로 전기 자극을 발생시킨다. 이 자극은 심방 근육을 수축시키고 방실결절로 전달된다. 방실결절은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 자극을 감속시켜 심실로 전달하는 역할을...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