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개인피폭선량 측정2025.05.081. 개인피폭선량 측정 1.1. 항공기 승무원의 작업환경과 대처방안 최근 비행으로 인한 방사선 피폭으로 급성골수성백혈병에 걸렸다며 산업재해를 신청한 대한항공 전직 승무원이 백혈병 투병 5년 만에 숨을 거두었다. 국내 항공사는 우주선에 피폭에 대하여 정량적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CARI-6 등을 이용하여 비행 노선별 피폭선량을 산출하고 있다. 대한항공사는 자체적으로 항공승무원의 연간 피폭량을 6 mSv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승무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피폭량을 공지하지는 않지만 항공의료 센터에 요청하면 확인할 수 있도...2025.05.08
-
방사선생물학2025.03.161. 방사선생물학 발달사 1.1. 19세기 말 엑스선과 라듐 발견 1895년 뢴트겐에 의해 엑스선이 발견되었다. 이는 생물체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탈모 작용을 통해 그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896년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에 의해 방사성물질인 라듐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방사선 생물학 분야의 기초가 마련되었고, 방사선에 대한 세포의 감수성이 연구되기 시작했다. 감수성이 높다는 것은 세포가 방사선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감수성이 낮다는 것은 세포가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는 것을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