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진단검사2024.09.101. 진단검사의 이해 1.1. 혈액검사 1.1.1.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 혈액검사의 종류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전혈구검사인 Complete Blood Count(CBC)는 가장 많이 처방되는 혈액검사 중 하나로, 적혈구(Red Blood Cell, RBC),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혈소판(Platelet)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질병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색소(Hemoglobin, Hb)와 헤마토크릿(Hematocrit, Hct) 수치를 측정하여...2024.09.10
-
폐결핵 사례에대한 간호과정2024.08.281.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1.1. 정의 및 병인론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후두, 신장, 뼈, 부신, 림프절, 뇌막 등 인체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폐를 가장 잘 침범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결핵균은 막대모양의 항산성 간균으로, 산소가 많은 환경을 좋아하는 호기성균이며 매우 천천히 증식한다. 또한 지방 성분이 많은 세포벽에 둘러싸여 있어 건조한 상태에서도 오랫동안 살 수 있지만, 직사광선을 쪼이면 수 분 내에...2024.08.28
-
위장계 검사2024.08.281. 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은 입을 말하며 점막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입술, 뺨, 구개와 혀로 덮여 있다. 입술과 뺨은 골격근으로 이루어져 씹는 동안 음식을 입안에 머물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경구개는 입천정의 뼈를 덮고 있으며 혀로 음식을 밀어 넣는 단단한 면이고 연구개는 구강인두를 닫으려는 반사작용으로 올라간다. 혀는 골격근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점막, 장액샘, 미뢰와 유두를 포함하고 있다. 혀는 저작하는 동안 음식이 침과 섞이도록 하고 거친 표면으로 음식을 핥거나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침은 음식이 ...2024.08.28
-
중환자실 폐렴2025.02.151. 서론 호흡기계는 인체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신체는 지속적인 산소공급을 필요로 하며, 호흡기계가 이를 담당하고 있다. 기도를 통해 폐로 전달된 공기에서 산소가 혈액으로 확산되어 조직으로 운반되므로, 호흡기계 문제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계는 체내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유입된 인자들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호흡기 질환을 가진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관련 신체사정과 진단절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이에 호흡기 질환 환자 간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2. 문...2025.02.15
-
골수염 케이스2024.09.2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형외과 분야에 대해 생각을 하면 골절,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추간판 탈출증 등이 가장 흔히 알려진 질환이지만 골수염 또한 여러 환자들이 겪고 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골수염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골수염 환자 수는 2015년 12,014명에서 2019년 12,802명으로 대략 800명 가량 증가하였고, 같은 해의 연령별 비율을 관찰했을 때 50세 이상의 골수염 환자 비율이 68.7%로 모든 연령대 중 대부분 노인의 연령대에 많이 나타나고 있다. 골수는...2024.09.25
-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부호흡기계2024.10.07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상부기도 1.1.1. 코와 부비동 코와 부비동은 상부기도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코는 두개골과 안면골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 가습, 가온하는 역할을 한다. 코 안쪽에는 비강이 있으며, 비강은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있다. 내측에는 3개의 비갑개가 있어 공기가 흘러가면서 여과, 가습, 가온이 이루어진다. 비갑개는 부종 시 코막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부비동은 상악골, 전두골, 사골, 접형골 내부에 있는 공기가 차 있는 빈 공간을 말한다. 부비동은 비강과 연결되어 있으...2024.10.07
-
er 포트폴리오2025.05.121. 서론 1.1. 경추간판장애의 정의와 증상 목뼈, 즉 경추는 총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7개의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는 연골 조직을 경추 추간판이라고 한다.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추간판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서 신경을 자극하여 뒷목, 어깨 상부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목디스크, 즉 경추간판장애이다. 경추간판장애의 주요 증상으로는 목의 통증, 어깨, 팔, 손바닥, 손가락의 통증, 감각 이상(만지면 전기가 오듯 저린 느낌, 둔한 느낌), 마비 증상(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놓침, 팔...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