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개
-
임신1기2024.09.241. 임신 불편감 및 간호 관리 1.1. 임신 1기 불편감과 건강문제 및 간호 1.1.1. 유방 변화와 새로운 감각 임부는 임신 첫 3개월 동안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중 하나가 "유방 변화와 새로운 감각"이다. 임부의 유방은 임신 기간 동안 호르몬의 자극으로 인해 여러 가지 변화가 나타난다. 우선 유선조직의 비후, 혈관분포의 증가, 색소침착, 유두와 유륜의 크기 증가와 돌출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는 임부에게 통증, 찌릿찌릿함, 압통 등의 새로운 감각을 느끼게 한다. 이는 임신 6주경부터 시작되며, ...2024.09.24
-
renal cancer, nephroureterectomy2024.09.261. 방광암 1.1. 정의 방광은 골반 내에 있으며 윗면은 복막으로 덮여 있다. 방광 바닥과 직장 사이에는 남성에게는 정낭, 정관이, 여성에게는 자궁과 질이 있다. 방광의 가장 아래쪽인 방광 목은 요도와 연결되며 남성의 경우 전립선 위에 있다.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신장에서 피의 노폐물을 걸러 만들어진 소변은 요관을 통해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된다. 성인 방광의 평균 용적은 약 400ml이고, 하루에 약 1800ml의 소변을 만들므로 보통의 경우 성인은 하루 약 4~6회 소변을 보...2024.09.26
-
성인간호학요로계2024.10.051. 요로계 해부와 생리 1.1. 상부 요로계 1.1.1. 콩팥 콩팥은 누운 자세에서 열둘째등뼈와 셋째허리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른쪽 콩팥은 간의 위치 때문에 왼쪽 콩팥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해 있다. 콩팥은 겉질(피질), 속질(수질), 콩팥깔대기(신우)의 3개의 중요한 부분으로 구분된다. 겉질은 섬유피막 바로 밑에 있으며, 속질에는 집합관이 모여 만든 8~18개의 콩팥피라밋이 있다. 콩팥꼭지는 10~25개의 개구부를 통해 작은콩팥잔과 큰콩팥잔을 거쳐 콩팥깔대기로 소변을 배출한다. 콩팥깔대기는 콩팥문을 통과한 후 요관의 ...2024.10.05
-
성인간호학 요실금2024.10.071. 서론 1.1. 요실금 정의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이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을 보게 되는 현상으로 사회적 또는 위생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우리나라 여성의 40%가 요실금을 경험하고, 65세 이상 노인의 40~50%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빈도가 증가한다." 1.2. 정상 비뇨기계의 병태생리 정상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되며 각 기관들이 소변의 생성과 저장, 배출 과정에서 중요한 ...2024.10.07
-
비뇨생식기계 구조와 병태생리 분석2024.10.101. 신장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 1.1.1. 신장의 위치와 크기 신장은 척추를 따라 좌우 하나씩 존재하는 후복막성 장기로, 좌신이 우신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다. 신장은 제11, 12 흉추에서 제3 요추 사이에 있으며, 오른쪽 신장은 간의 오른쪽 엽에 눌리기 때문에 왼쪽 신장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 약 11cm, 너비 약 6cm, 두께 약 2.5cm 정도이며, 무게는 체중의 약 0.5%에 해당하는 110~150g 정도이다. 1.1.2. 신장의 내부 구조 신장의 내부 구조는 ...2024.10.10
-
비뇨생식기계 구조와 병태생리 분석2024.10.101. 비뇨생식기계 1.1. 비뇨기계 1.1.1. 해부 1.1.1.1. 콩팥 콩팥(신장, Kidney)은 뒷배벽에 접촉하는 배막뒤기관으로서 척주 양쪽에 위치한다. 콩팥은 열한 번째 등뼈 위로부터 셋째 허리뼈 사이에 있으며, 오른콩팥(우신, right kidney)은 간의 오른엽(우엽)에 눌리기 때문에 왼콩팥(좌신, left kidney)보다 약간 낮게 위치한다. 콩팥의 구조는 겉질, 속질, 깔때기의 3부분으로 되어 있다. 콩팥은 뇌조직 다음으로 정교한 기관으로 인체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주요 장기이다. 콩팥은 호르몬, 신경, 심맥...2024.10.10
-
해부생리학 내분비계통2024.10.061. 내분비계통 1.1. 내분비계통의 정의 내분비계통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샘, 조직, 세포로 구성된 신체계통이다. 내분비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신체 전반에 전달되어 성장, 대사, 면역, 생식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한다. 이러한 내분비샘에는 뇌하수체,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 이자, 생식샘 등이 포함된다. 내분비계통은 신경계통과 상호작용하며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분비계통은 인체의 복잡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생리학적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1.2. 호르몬 호르몬(...2024.10.06
-
의학용어 기말고사2024.11.071. 신체계 및 비뇨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신체계 1.1.1. 골격계 골격계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진 체내 구조물로, 신체의 지지대이자 보호기능을 하는 중요한 계통이다. 뼈는 체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 크게 피질골과 해면골로 구성되어 있다. 피질골은 뼈의 겉면을 덮고 있는 치밀한 층이고, 해면골은 피질골 내부의 엉성한 구조를 가진다. 해면골은 내장기관을 보호하며, 골수생성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뼈는 성장이 완료되면 약 206개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된다. 두개골은 머리 부분을 보호하며, 안면골은 눈, 코...2024.11.07
-
아동 비뇨생식기계2024.10.311. 비뇨생식기 기능과 해부 1.1.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의 4개 기관으로 구성되며, 신장과 요관은 상부요로계, 방광과 요도는 하부요로계를 이루고 있다. 신장(kidney)은 한 쌍의 복막뒤장기(retroperitoneal organ)로서 제12번 등뼈에서 제3번 허리뼈에 걸쳐 척추 좌우에 위치하고 있다. 신장은 붉은색을 띠는 구조로 크기는 성인기준 길이 약 12cm, 폭 5~7.5cm, 두께 약 2.5cm이며 무게는 115~175g 정도이다. 신장내측에는 신문(hilum)이라는 움푹 들어...2024.10.31
-
요로결석 사례 케이스2024.10.161. 요로결석의 이해 1.1. 정의 요로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의 요로에 생긴 돌을 말하며, 요로결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소변 흐름의 장애와 애로 인한 통증,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간혹 신장 기능의 손상을 일으킨다. 1.2. 구조와 기능 1.2.1. 콩팥 콩팥은 한 쌍의 복막뒤장기로서 좌, 우에 위치하는 강낭콩 모양의 장기이다. 오른콩팥은 간 아래에 있어서 왼콩팥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며 12번째 갈비껴 수준에 있다. 콩팥의 무게는 115~175g이고 크기는 약 12cm, 폭이 5~7.5cm, 두께가 약 2.5...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