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설명하고,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분류기준에 따라 나누어 기술2024.09.151. 서론 1.1. 음운의 분류: 자음과 모음 음운은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자음은 성대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조음기관의 장애를 조금이라도 받는 소리이며, 모음은 전혀 장애를 받지 않는 소리로 구분된다". 특히 한국어의 경우 한국어만의 독특한 자음과 모음의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음은 공기의 흐름이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상당한 장애를 받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조음 시 구강의 조음 기관 중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혀, ...2024.09.15
-
발음 교육 방안 베트남2024.12.121. 한국어 발음 교육의 과제 1.1.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어려움 현황 최근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약 70%가 한국어 발음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3].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 학습 시 겪는 어려움은 크게 자음과 모음 발음에서 나타난다. 자음 발음에서의 어려움은 비슷한 자음 구분의 어려움과 받침 자음 발음의 어려움으로 나타난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ㅂ, ㅍ, ㅃ과 같은 유사 자음 구분이 어렵고,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다양한 받침 자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받침 ㄹ 발음...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