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느라고2024.09.041. 동사 '~느라고'의 문법 1.1. 동사 '~느라고'의 결합 "동사 '~느라고'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동사의 받침 유무에 따라 다르게 결합한다. 받침이 있는 동사의 경우 동사 어간에서 '-다'를 떼고 '-느라고'를 붙인다. 예를 들어 '먹다'는 '먹느라고'가 되고, '가다'는 '가느라고'가 된다. 받침이 없는 동사의 경우에는 그대로 동사 어간에 '-느라고'를 붙인다. 예를 들어 '보다'는 '보느라고'가 된다. 또한 일부 동사 중 'ㄹ' 탈락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는데, '만들다'는 '만드느라고'가 된다. 이처럼 동사 '~느라고...2024.09.04
-
얇은 ㅁ가2024.10.081.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1.1.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발음 교육 한국어의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모음은 모음 발음 시 발음의 시작부터 끝까지 입 모양이 변하지 않는 모음이며, 이중모음은 모음 발음 시 시작과 끝의 입 모양이 달라지는 모음이다.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한국어의 단모음은 총 10개로, '이, 에, 애, 위, 외, 으, 어, 아, 우, 오'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외'와 '위'의 경우 대부분의 한국어 화자들이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실질적인 단모음의 개수는 8개라고...2024.10.08
-
초등학교1학년국어 글자를 만들어요2025.05.271.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글자를 만들어요 1.1. 단원 개관 및 목표 이 단원은 글자의 짜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글자를 만들어 봄으로써 글자 해득 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적이다. 한글 글자는 자음자와 모음자가 만나 하나의 음절이 되므로, 한글을 바르게 익히기 위해서는 한글을 이루는 낱자인 자음자와 모음자가 만나서 글자를 이루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글자의 짜임은 받침이 없는 경우와 받침이 있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단원에서는 받침이 없는 글자 학습에 중점을 둔다. 학생들이 시나 노래를 들으며 읽기에 관심을 가...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