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책을 선정한 이유2024.09.291. 해방공간과 점령기 한국 사회 1.1. 해방 이후 미군정의 점령과 한국 사회 해방공간의 한국 사회는 일본 제국주의로부터의 해방과 미국의 군사점령이라는 이중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1945년 8월 15일 한반도가 해방을 맞이하면서 한국인들은 새로운 국가건설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했다. 그러나 곧바로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되면서 미군정(美軍政,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이 수립되었다. 미군정은 한반도 문제를 자신의 이해관계에 맞추어 해결하고자 했으며, 이는 한국인들...2024.09.29
-
1945년 해방 이후 미국과 소련의 임시정부 구상2024.10.311. 해방 이후 한국 현대사의 전개 1.1. 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 1945년 8월 초 일본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조선총독 아베 노부유키는 한국의 민족지도자를 찾아 한국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협상대상자로 삼고자 하였다. 이때 건국 준비를 위한 민족의 대표기관과 정치세력 형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여운형이 이에 동조하면서 협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1944년 8월 10일 비밀리에 '건국동맹'이 조직되었고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었을 때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를 발족하게 된다. 건준의...2024.10.31
-
해방 이후 미ㆍ소의 대한정책과 남한 정부 수립2024.10.311. 해방 전후 정치 상황 1.1. 조선건국준비위원회 1945년 8월 초 일본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조선총독 아베 노부유키[阿部信行]는 한국의 민족지도자를 찾게 되었다. 이때 건국준비를 위한 민족의 대표기관과 정치세력 형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여운형이 그에 동조함으로써 협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1944년 8월 10일 비밀리에 '건국동맹'이 조직되었고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었을 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사무실은 서울 풍문여자중학교에 두었고 위원장에 여운형(呂運亨), 부위원장에 안재홍(安在鴻)...2024.10.31
-
식민지근대화론 찬성2024.10.111. 식민지 근대화론의 논쟁 1.1.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근대화론은 식민지 이전의 한국 사회를 전근대적 전통사회 혹은 비자본주의 사회로 규정하고, 한국사회가 식민지 지배를 통해 비로소 자본주의사회가 되었다고 본다. 그 근거로는 1910년의 토지조사사업으로 토지에서의 사적 소유권이 제도화된 점, 1930년대에 전개된 일제의 중공업정책, 농업부문에서의 이농과 식민지 공업화 정책으로 자유 임노동자 층이 확대 재생산된 점, 일제 강점기의 경제상에서 수탈이란 용어만으로 ...2024.10.11
-
모스크바의 신사2024.08.181. 서론 1.1. 백범 김구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백범 김구 연구의 배경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백범 김구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동학 운동 참여, 을미사변 이후 감옥생활과 계몽운동, 중국 망명과 임시정부 활동, 광복군 조직과 대일선전포고, 해방 후 반탁운동과 정치활동 등 다양한 면모를 보였다. 또한 그의 역사관과 사상, 즉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신념, 민족주의와 국가 자주independence 사상, 통일국가 수립의 염원 등은 한국 근현대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2024.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