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지스트2024.09.131.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동작 1.1. NPN, PNP접합 NPN 접합은 두 개의 N형 반도체 사이에 아주 얇은 P형 반도체를 끼운 샌드위치 구조이다. 이렇게 N과 P와 N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NPN 접합은 하나의 단결정에 제작된다. 이 세 개의 전극을 에미터(Emitter), 베이스(Base), 컬렉터(Collector)라고 하며 기호로 E, B, C로 나타낸다. PNP 접합은 NPN 접합과 반대로 P형 반도체 사이에 아주 얇은 N형 반도체가 끼워진 구조이다. 역시 이 세 부분이 하나의 단결정에 제작되어 있다. PNP 접합...2024.09.13
-
전자공학부 면접2024.09.141. 반도체 및 전자소자 1.1. 반도체의 정의와 특성 반도체는 전기전도도가 전자와 정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물질로서, 그의 전기저항률 즉 비저항이 도체와 절연체 비저항의 중간 값을 취하는 물질이다. 반도체는 불순물 포함 여부에 따라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P형 반도체 or N형 반도체)로 나뉘어진다. 진성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 사이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최외각에 4개의 가전자를 갖는 4가 원소들이다. 실리콘(Si)이나 게르마늄(Ge)과 같은 순도가 매우 높은 반도체를 진성 반도체라 한다. 진성 반도체는 평상시에...2024.09.14
-
반도체공정2024.09.281. 반도체 공정 개요 1.1. 웨이퍼 제조 웨이퍼는 실리콘(Si), 갈륨 아세나이드(GaAs) 등을 성장시켜 만든 단결정 기둥을 적당한 두께로 얇게 자른 원판이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Si)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실리콘이 자연계에서 흔하고 경제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이다. 실리콘 웨이퍼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실리콘(Poly Silicon)이라는 실리콘 원료를 뜨거운 열로 녹여 고순도의 실리콘 용액을 만든다. 이를 초크랄스키(Czochralski, CZ) 방식으로 단결정 기둥인 잉곳(Ingot)...2024.09.28
-
반도체 소자, 반도체 공정, ALD2024.10.021. 반도체 공정 개요 1.1. 반도체 공정의 주요 단계 반도체 공정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웨이퍼 공정은 실리콘 잉곳을 가공하여 웨이퍼를 만드는 단계이다. 실리콘 잉곳을 자르고 연마하여 표면을 평탄하게 만들고, 열처리를 통해 웨이퍼의 결정구조를 개선한다. 이후 웨이퍼에 산화막을 증착하여 기본적인 절연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는 노광 공정이다. 웨이퍼 표면에 감광 물질인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마스크를 통해 빛을 쬐어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웨이퍼 표면에 회로의 모양을 새길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는 증착...2024.10.02
-
연세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2024.10.121. 삼성전자 DS 사업부 분석 1.1. 삼성전자 DS 사업부 개요 삼성전자 DS 사업부는 반도체 공정 중 반도체 제조에 특화된 사업부이다. 반도체 회사는 Fabless와 Foundry로 구분되는데, Fabless는 시스템 반도체의 설계를 주로 담당하고, Foundry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집중한다. 현재 삼성전자의 Foundry 사업부는 전세계 수준이며, 대만 반도체 기업 TSMC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삼성전자 DS 사업부는 첨단 공정 기술과 설계 인프라를 갖추고 전세계 Fabless 고객에게 Total Foundry ...2024.10.12
-
볼츠만의 엔트로피2025.01.011. 시간의 본질과 특성 1.1. 시간의 대칭성과 비대칭성 시간은 근본적으로 대칭적이지만 우리가 경험하는 시간은 비대칭적이다. 알려진 모든 근본적 물리법칙은 시간 대칭성 또는 시간역전불변성을 지니고 있다. 하나의 물리적 프로세스가 물리법칙에 부합한다면 그 프로세스를 시간상에서 거꾸로 돌려도 여전히 부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F =ma = mdv/dt = md2x/dt2라는 식에 t를 -t로 대입해도 달라지지 않는다. 이것이 물리법칙의 시간대칭성이다. 또한 중력장 하에서의 물체 낙하와 같은 공간에서의 겉보기 비대칭성은 공간...2025.01.01
-
반도체 미래2024.10.291. 반도체의 개요 1.1. 반도체의 정의 반도체(semiconductor)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부도체처럼 작동하는 물체로 상온에서의 전기전도율은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정도의 성질을 갖는다. 반도체에 가해진 전압이나 열, 빛의 파장이 달라지면 전기 전도도의 변화가 유발된다.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규소 결정에 여러 불순물을 넣어 만들며 주로 증폭장치, 계산장치 등을 구성하는 직접회로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이러한 반도체는 첨단 산업에 있어 핵심 부품으로 각종 첨단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이다. 1.2. 반도체 산업의 중요...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