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민중신학2024.10.041. 들어가는 말 한국 사회의 발전과 경제적인 요소들의 강화로 인해 한국의 사회와 교회는 경제적 논리를 맞이하게 된다. 사회는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이윤 창출을 위해 모든 정책들과 법을 동원했으며 이런 변화로 인해 한국의 교계도 그들이 가진 기준점들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해야만 했다. 일부 경제적 논리에 의해 치우친 교회는 가난과 억압의 고통 아래 있는 사람들에 대해 무관심했지만 일부는 새로운 신학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들을 위한 신학을 세워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민중 신학'이다. 2. 민중신학의 배경 2...2024.10.04
-
직지2024.12.191. 직지와 그 의미 1.1.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의 정확한 이름과 의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의 정확한 이름은 "백운화상초록 불조직지심체요절"이다. 이는 "백운화상이 편찬한 마음의 실체를 가리키는 선사들의 중요한 말씀"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직지의 정확한 이름으로, 단순히 "직지"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다. 고 박병선 박사가 1972년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이 책을 발견하면서 외국인들이 부르기 쉬운 "직지"라는 명칭을 사용했기 때문에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명칭이...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