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민주화 이전의 한국의 보수주의2024.10.011. 이승만 국부론과 대한민국 건국절 논란 1.1. 이승만 국부론의 시작 이승만 국부론의 시작은 최근 수년간 우리 사회에서 지속되어 온 건국절과 관련한 뜨거운 논쟁에서 비롯되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8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건국 60년, 우리는 '자유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싸워왔다"고 발언하며, '건국'이라는 개념을 역사적 차원에서 정치적인 이념 논쟁의 장으로 끌어들였다.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6년 광복절 행사에서 '광복 71주년,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언급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일(19...2024.10.01
-
80년대 민중문학의 개념과 특징2024.10.081. 80년대 민중문학의 개념과 특성 1.1. 민중문학의 개념 민중문학의 개념은 노동 현장이나 산업화에 밀려 피폐화된 농촌 현실 속에서 자본가 계급의 이익에 맞서 싸우는 노동자나 농민들, 혹은 현장에 투신한 지식인들의 이야기라고 규정할 수 있다. 80년대 민중문학은 집단성과 목적성이 부각된 문학으로 정치적인 색채가 짙게 깔려 있다. 1984년 무렵 등장한 '민중문학론'은 노동자 시인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이 던져준 충격과 감동이 상징하는 새로운 문학적 흐름 및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새로운 논의를 펼치기 시작하였다. 민중문학론의 골...2024.10.08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2,32024.12.191. 서론 문학사란 문학의 통시적 흐름에 체계와 방향을 부여하는 작업이라 할 때 각 시대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해명은 시대구분의 문제에 귀결된다. 시대구분을 통해 문학사는 문학의 역사적 전개양상의 객관적 원리와 그 운동법칙을 밝힐 수 있다. 때문에 문학사를 쓴다는 자체가 결국 시대구분의 문제로 귀착할 만큼 시대구분은 문학사 기술의 방법적인 핵심으로 부각된다. 시대구분은 문학사 기술방법론의 핵심적인 문제이면서 동시에 방법론 이상의 역사적 해석과 전망에 관한 문제이다. 한 시대의 문학사 전개를 위한 명확한 시대구분은 어려운 일이다. ...2024.12.19
-
김산, 님 웨일즈 “아리랑2024.12.181. 김산(장지락)의 생애와 아리랑 1.1. 이 책의 유래와 출판 이 책은 폭풍의 시대에 역사가 명하는 바에 따라 불화살 같이 살아간 한 조선인 독립혁명가 '김산'의 고뇌, 좌절, 사랑, 열정, 사상의 피어린 발자취를 쓴 글이다. 이 글은 젊고 명석한 여성 언론인이며 작가였던 님 웨일즈(을 쓴 에드가 스노의 부인)가 김산(본명 장지락·1905~1938)을 약 6개월간 22번 만나서 이야기를 나눈 끝에 쓴 것이다. 그들은 1937년 7월 장마가 계속되던 중국 서북부의 연안에서 만난다. "작은 약소국 조선이 흘린 피가 결코 물에 녹아...2024.12.18
-
이육사 강 건너간 노래2024.09.101. 서론 이육사는 1930년대 민족의 시인, 志節(지절)의 시인으로 이름이 높다. 그는 처음부터 남다른 시인이었다. 첫 출발이 문학이 아니었고 독립운동이었다. 짧은 일생을 독립운동에 바치다가 결국 감옥에서 옥사한 시인이다. 그에게는 뚜렷한 습작기가 없었다. 원래 목표가 문학이 아니었기 때문에 창작을 위한 수업이 거의 없었다. 대개 중학교 과정에서 뚜렷이 알려진 것이라고는 독립군 양성의 군관학교의 북경대학 사회학과 수업이 고작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의 연령으로나 정신적으로 보면 문학 수업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육사의 문학 수업은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