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사이비 역사학2024.10.211. 사이비역사학과 역사파시즘 1.1. 사이비역사학의 등장 배경 사이비역사학의 등장 배경은 197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2년 5월 11일 박정희 정부는 '교육의 국적을 찾자'는 대통령의 제창에 따라 문교부 산하에 국사 교육 강화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는 '민족'을 중심으로 한 역사 교육을 실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 다음 해 1973년 6월 23일 또 다른 정책을 발표하였는데 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의 가장 큰 목적은 새로 출범한 유신 체제의 선전과 정당화였다. 당연히 역사학계와 교육계의 반응은 매...2024.10.21
-
내재적 발전론2024.10.191. 내재적 발전론의 연원과 대두 1.1. 식민사학의 등장과 배경 식민사학은 19세기를 전후하여 일제의 조선 침략 과정과 함께 정립되었다. 식민사학은 일제의 조선 침략 및 합방을 합리화하기 위한 도구로 출발하였으며, 합방 이후에는 식민지 조선의 동화를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기능이 확대되었다. 일제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식민사학자들은 다양한 이론을 전개하였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되는 것은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이다. 타율성론은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한민족의 주체적 역량에 의한 것이 아니라, 중국·몽골·만주 및...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