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가시리 신아리랑 진달래꽃2024.09.111. 고려가요 '가시리' 1.1. 작품 개관 '가시리'는 고려 속요라 추정되는 작품으로, 전 4연의 분연체 형식을 취하고 있다. 기승전결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서정시이다. 가사가 애절하고 간결하여 순박한 정서가 두드러지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악장가사(樂章歌詞)》에는 전편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1절만 수록되어 전해진다. 이 작품은 고려가요라는 확증은 없지만, 작품의 가풍(歌風)과 시정(詩情)으로 보아 고려 속요로 추정된다."" 1.2. 원문 해석 '가시리' 원문 해석은 다음과 같다. 가시...2024.09.11
-
가시리 신아리랑2024.09.111. 고려 속요(古麗俗謠) 1.1. 고려 속요란 무엇인가 고려 속요는 고려시대에 불렸던 우리말 노래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고려시가는 크게 경기체가와 속요로 구분되는데, 속요는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노래를 의미한다. 고려 속요는 신라시대의 향가로부터 이어진 서정적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려 속요라는 용어는 그 뜻이 모호하고 범주가 넓기 때문에 연구 초기부터 지금까지 개념 규정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넓은 의미로는 고려시가 전체를 지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경기체가와 속요...2024.09.11
-
한국 신화의 이해2024.09.171. 민속문학의 이해 1.1. 민속문학의 개념 민속문학은 민간인이라는 향유층의 삶의 역사를 의미하며, 민간에서 창작되는 민간문학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민속문학은 언어와 관계된 문화를 일컫는 말로, 민중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고 전승되어온 문학 장르들을 포함한다. 민속문학에는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등이 있다. 이처럼 민속문학은 민중의 지식, 정신이 작용해 산출된 것으로, 민족 주체의 역사와 의식이 언어에 함축된 것이다. 따라서 민속문학은 민중의 작품이자 삶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1.2...2024.09.17
-
양반가사와 평민가사의 차이2024.09.241. 서론 1.1. 고전시가의 정의 고전시가(古典詩歌)는 개화기 이전의 한국의 시와 노래를 통칭하는 말이다." 고전시가는 넓은 의미에서 우리글로 된 문학들 중 노래문학이, 한자로 된 문학 중 한시 그리고 말로 전해오는 구비문학 중에서 민요가 이에 해당한다." 좁은 의미에서 고전시가는 노래가 불린다는 기능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상대시가, 향가, 속요,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잡가, 민요를 고전시가 장르로 포함한다." 1.2. 고전시가의 범주 고전시가의 범주는 상대시가, 향가, 속요,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잡가...2024.09.24
-
요고와 장고의 역사2024.10.041. 요고와 장고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1.1.1. 고구려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의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이었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었고,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나라 및 당나라의 기록에서 고구려 요고와 관련한 언급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노래 "...2024.10.04
-
강원아리랑2024.09.251. 아리랑의 문화적 가치와 전파 1.1. 아리랑의 개념과 유래 아리랑의 개념과 유래는 아직 확실하게 합의된 설이 없다. 첫째, 삼국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가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의 설립 신화와 관련하여 계림의 알에서 태어난 알영 부인을 찬미하는 "알영가"가 아리랑으로 전래되었다는 알영 부인 설이 있다. 둘째, 조선말 흥선대원군 시대에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고, 흥선대원군이 무너진 경복궁을 재건하기 위해 새로운 화폐인 당백전을 발행하고 조세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백성들의 원성이 자자한 끝에 그러한 원성이 차라리 들리지 않기를 바라는...2024.09.25
-
향가 숭고미2024.10.021. 서론 1.1. 향가와 고려가요의 문학적 의의 향가와 고려가요는 모두 한국 고대 및 중세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들로, 그 문학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향가는 통일신라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 형태로, 한자를 우리 고유의 언어체계인 향찰로 표기하여 발전시킨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 문학이자 개인 창작시이다. 이를 통해 우리 고유 문자 체계와 신라인의 정신세계를 잘 보여주는 민족 문화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특히 향가의 형식과 내용은 신라인의 아름다운 언어감각과 정서를 잘 보여주고 있어, 신라어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2024.10.02
-
세계인사노래2024.11.051. 서론 1.1. 유아 음악 교육의 중요성 유아 음악 교육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음악은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언어, 인지, 사회성, 창의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첫째, 음악 활동을 통해 유아는 언어 발달을 이루게 된다. 노래를 부르고 리듬에 맞춰 움직이면서 새로운 단어와 문장을 익히게 되며, 말하기와 듣기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음악적 표현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둘째, 음악 활동은 유아의 인지 발달에 도움을 ...2024.11.05
-
노인음악재활관련 논문2024.10.151. 서론 1.1. 신경인지 장애의 정의와 특성 신경인지 장애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신경학적 변화 때문에 인지장애나 행동 장애가 야기되는 임상 증후군이다. DSM-5에서는 원인에 따라 섬망, 주요 신경 인지장애, 경도 신경 인지장애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원인으로는 뇌 질환같이 뇌에서 기원하는 일차적일 수도 있고, 전신질환에 의한 이차적인 뇌 기능장애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독소나 혈액 순환 장애, 기타 뇌의 정상적인 기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상황은 정신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뇌 기능장애 여부를 알 수...2024.10.15
-
우리나라 민담 설화 신화를 현대화로2024.10.181. 민속문학의 개념과 종류 1.1. 한국 민속놀이의 종류 민속놀이는 민간에서 발생하여 오랜 세월동안에 전해 내려오는 그 지역의 생활 및 풍속을 반영한 놀이이다. 이러한 민속놀이는 싸움을 의미하는 경쟁의식, 흥을 돋우는 유희성, 즐김을 나타내는 오락성,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성을 담고 있다. 옛 문헌에 의하면 우리 민족에게는 3세기경부터 마을단위의 축제 놀이문화가 있었으며, 삼국시대의 놀이로 윳놀이, 바둑, 장기, 씨름, 석전, 주사위, 투호, 수박 등이 있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더 많은 놀이들이 있었다. 또한, 민속놀이는 노는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