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허균의 유재론2024.09.141. 허균의 생애와 사상 1.1. 허균의 출생과 성장 허균은 1569년(선조 3년)에 강릉 사천 애일당에서 초당 허엽과 부인 강릉 김씨 사이의 막내로 태어났다. 허균이 아홉 살 때 가족이 모두 상곡으로 이사를 갔다. 허균은 명례방(현재 서울 명동)에서 성장하며 임수정, 임현, 최천건 등과 교류하였다. 유몽인은 어우야담에서 허균에 대해 "총명하고도 영특했으며, 태어난 지 아홉 해 만에 시를 지을 줄 알았는데 매우 아름답다. 여러 어른이 그를 칭찬하면서 문장을 잘하는 선비가 될 것이라 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나 매형 우성전은 "...2024.09.14
-
안민가 청산별곡2024.10.141. 향가와 고려가요의 비교 1.1. 향가의 개념과 특성 향가(鄕歌)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定型詩)로, 신라와 고려 초기에 향찰(鄕札)로 기록된 노래를 말한다. 향가는 우리 시가 사상 최초의 정형성을 띤 노래로서,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보현십원가)가 전한다. 형식은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는데, 향가의 근원적 양상은 민요일 것이다. 그리고 그 기본 형식은 4구체이다. 민요(民謠)의 4구체를 기본으로 하고, 이것의 배수인 8구체나, 여기에 다시 후렴을 더한 10구체가 향가의 정제된 완성형으로 볼 수 ...2024.10.14
-
공학자정약용2024.10.311.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과 성장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고향 마재에서 태어났다. 당시 세상은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정조가 사망하고 정권을 탈취하려는 세력들이 득세하면서 정치적 갈등과 혼란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정약용의 가문은 유명한 집안으로, 8대 옥당 가문에 속했다.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내온 훌륭한 조상들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가 태어난 마재는 정약용 가문의 오랜 터전이었으며, 초기 천주교 인사들이 ...2024.10.31
-
고려 말의 신진사대부2024.10.031. 고려말의 신진사대부 1.1.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은 고려사회가 원으로의 예속과 내부의 사회경제적 모순관계로 인해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고려말 신진사대부는 새로운 정치·경제체제와 정치세력이 등장하는 분기점이었던 고려사회에서 대두된 세력이었다. 고려는 1270년 몽고와 강화가 성립되면서 원에 예속되어 정치적 간섭을 받게 되었고, 경제적으로는 전시과가 유명무실해지고 녹과전 체제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11~12세기 농민항쟁에서 분출된 민의 요구가 정치에 반영되지 않았고, 농장을 중심으...2024.10.03
-
세종대왕 리더십과 장애인 복지정책2024.11.221.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복지 정책 1.1. 세종대왕의 민본사상과 백성 중심 정책 세종대왕의 민본사상과 백성 중심 정책이 돋보인다. 세종은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며 근본인 백성이 튼튼해야 나라가 편안하다고 여겼다. 이에 따라 백성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세종은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글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을 위해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이다. 훈민정음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백성을 가르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세종의 민본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백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2024.11.22
-
세종대왕의 장애인 복지정책과 리더십 분석2024.11.221. 서론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세종이 펼쳤던 장애인 복지 정책을 알아보고 현재의 장애인 복지 정책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서술하고자 한다. 장애인에 대한 이야기는 늘 뜨거운 감자다. 그들을 포용해야 한다는 사실은 많은 사회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지만 그들에 대한 시선이 늘 따뜻하지는 않다. 사실 필자의 동생은 신체에 장애가 있다. 여린 동생이 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받았던 유년기의 상처는 우리 가족에게 잊을 수 없는 상처다. 장애인을 가족으로 둔 입장에서 볼 때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은 아직도 따갑다. 그리고 현재 대학생 ...2024.11.22
-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장애인 복지정책2024.11.221. 서론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세종이 펼쳤던 장애인 복지 정책을 알아보고 현재의 장애인 복지 정책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서술하고자 한다. 장애인에 대한 이야기는 늘 뜨거운 감자다. 그들을 포용해야 한다는 사실은 많은 사회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지만 그들에 대한 시선이 늘 따뜻하지는 않다. 사실 필자의 동생은 신체에 장애가 있다. 여린 동생이 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받았던 유년기의 상처는 우리 가족에게 잊을 수 없는 상처다. 장애인을 가족으로 둔 입장에서 볼 때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은 아직도 따갑다. 그리고 현재 대학생 자...2024.11.22
-
동서양고전의이해 맹자2025.04.041. 동서양고전의 이해 1.1. 맹자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대표적인 유학자이다. 그의 왕도정치 사상은 조선 사대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맹자는 기원전 4세기경 전국시대에 산둥성 쩌우청에서 태어났다. 맹자는 노나라 세력가 중 한 가문인 맹손씨의 자손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맹자의 본래 이름은 맹가였는데, 이는 당시 사람들의 주요 교통수단이었던 수레를 뜻하는 말이다. 이는 공자가 수레를 타고 천하를 주유하며 사상을 전파한 것과 유사하게, 맹자도 수레를 타고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사상을 전파했...2025.04.04
-
방송중간 공통교양 동서양고전의이해 맹자2025.04.051. 맹자의 주요 사상 1.1. 성선설과 인간 본성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보았다. 그는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도덕적 감정을 지니고 있으며, 적절한 교육과 환경이 주어진다면 누구나 바른 길을 걸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맹자는 이를 뒷받침하는 개념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제시했다. 그는 인간이 타인의 고통을 보고 측은한 마음을 가지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이 곧 인(仁)의 시작이며, 불의를 부끄러워하는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의(義)의 출발점이라고 보았다. 또한, 겸손하고 예의를 차리는 사양지심(辭讓之心)이 예(禮)의 근본...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