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태아의 권리능력2024.09.201. 서론 권리능력이란 권리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지위 또는 자격으로서, 권리능력이 있다는 것은 법적으로 권리를 가지고 행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권리능력은 민법에서 자연인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민법 제3조는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라고 하여 사람의 권리능력은 출생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을 관철하여 태아는 아무런 권리능력을 가지지 못한다고 하면 나중에 태아가 살아서 출생하였을 때 부당한 경우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각국은 위 원칙을 ...2024.09.20
-
법학 졸업논문2024.09.081. 서론 1.1.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에 대한 상속 전반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반려견과 반려묘를 중심으로 한 반려동물에 대한 상속을 다루고자 하는 것이다. 현행법상 반려동물은 민법상 물건에 해당하여 권리능력이 없어 상속 대상이 될 수 없지만, 외국에서는 이미 반려동물에 대한 상속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반려동물에 대한 상속 문제가 충분히 논의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이를 위한 입법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반려동물에 대한 간접적인 상속 방식인 "펫신탁"에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