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민란2024.10.161. 조선시대 민란의 이해 1.1. 민란과 변란의 개념 및 특성 조선시대 민란(民亂)은 경제투쟁의 성격이 강한 '농민항쟁'을 말하며, 변란(變亂)은 정감록 등 민중사상을 이용하며 정치적 성격이 강한 일종의 정치투쟁을 말한다. 민란은 "發通→聚會→呈訴→蜂起→해산"의 틀(순서)로 나타나는데, 발통은 민란의 주모자들이 시간과 장소를 정해 농민들에게 모이라는 연락을 하는 것이고, 취회는 농민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며, 정소는 대표자를 뽑아 고을 수령에게 개선책을 건의하는 것이다. 정소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봉기로 드러나는...2024.10.16
-
조선후기의 민란2024.10.161. 조선후기 민중운동의 역사적 배경 1.1. 정치·사회적 변화 조선후기 사회는 정치·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먼저 17세기 말~18세기 초 여러 환국으로 인해 정치적 불안정 현상이 나타났다. 환국은 정치집단 간의 세력 관계에 큰 변동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몰락한 측에서는 불만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여러 음모술수가 난무하게 되었고, 성리학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는 등 기존의 유교 윤리에서는 허용되지 않던 행태들이 나타났다. 또한 17세기 말~18세기 초에는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동전이 전...2024.10.16
-
무신정권의 붕괴 소논문2024.11.251. 조선후기 농민항쟁사 연구 현황 1.1. 머리말 18·9세기 면역 주체세력의 형성과정으로서의 농민항쟁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나타났다. 먼저 지주-전호제라는 봉건적 생산 관계하에서 경제외적 경제에 의해 지대를 수탈당하고 있던 작인(作人), 농민들은 그 지대를 감하(減下)시키고,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농민적 토지소유를 취하기 위한 항조(抗租)운동을 전개하였다. 또 소상품 생산자로의 성장을 지향하는 소농민들은 봉건권력의 봉건적 수취체제를 통한 가혹한 수탈에 저항하여 항조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는 중소지주·부농층도 참여하였으며, 빈농 ...2024.11.25
-
고려시대의 오병수박희2024.11.251. 고려 무신정변과 무신정권 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시대에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왕을 세워 자신들이 권력을 세습하며 고려를 지배한 사건이다. 고려 의종 24년인 1170년 음력 8월 30일, 상장군 정중부와 이의방, 채원, 이고, 이의민 등의 무신 장수들이 보현원에서 일으킨 쿠데타로 시작되었다. 이 정변으로 문신들이 대거 살해되었고, 의종이 폐위되어 거제도로 유배되었다. 의종의 동생 왕호가 왕위에 올랐지만 실권은 무신들이 장악하였다. 무신정변은 "무신의 난"이라고도 부르며, 정변이 일어난 경인년에...2024.11.25
-
고려 무신정권의 붕괴2024.11.241. 고려 무신정권의 전개과정과 의의 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 의종 24년(1170년) 음력 8월 30일에 상장군 정중부와 이의방, 채원, 이고, 이의민 등의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은 문신들의 차별과 문벌귀족사회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이 정변을 일으켰다. 정변의 발단은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했을 때 발생했다. 무신들은 보현원에 모여 있던 문신들을 공격하여 대량 살해했다. 이후 의종을 거제현으로, 태자는 진도현으로 유폐시킨 뒤 의종의 동생 왕호를 새 왕으로 세...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