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티비드라마의 이해2024.09.241. 드라마 '빈센조' 1.1. 등장인물 소개 빈센조의 등장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빈센조(송중기) 역은 이탈리아 마피아 [까사노 패밀리]의 콘실리에리이다. 냉혈한 전략가이며 완벽한 포커페이스의 소유자이다. 보스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하며 패밀리가 곧 법이다라는 원칙으로 살아간다. 허를 찌르는 방법으로 깔끔하게 일을 처리하는 최고 변호사로 그 누구도 그의 제안을 거부할 수 없다. 당한 것은 몇 배로 되갚아주는 '복수주의자'로 한 번 복수를 결심하면 절대 번복하지 않고 초토화 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홍차영(전여빈) 역은 '악마의 혀...2024.09.24
-
영상문법기초2024.09.241. 영화 개요 1.1. 영화 정보 영화 정보는 다음과 같다. 영화 제목: - 개봉 날짜: 2018년 10월 31일 감독: 이재규 감독은 "다모", "베토벤 바이러스", "더킹 투하츠" 등 드라마 PD로는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이 작품은 영화 감독으로서 첫 성공작이다. 장르: 드라마, 코미디 줄거리: 어렸을 때부터 함께 자란 태수, 석호, 준모, 영배는 석호와 예진 부부의 집들이로 모이게 된다. 서로의 휴대폰에 오는 모든 것을 공유하기로 하고, 겉으로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이는 관계들이 휴대폰 게임으로 인해 갈등을 겪게 된다....2024.09.24
-
proscenium arch2024.09.301. 미장센(Mise en Scene) 1.1. 미장센의 개념 미장센(mise en scène)은 원래 프랑스 연극 용어로서, '무대 위에 배치한다'는 뜻이었다. 이는 무대라는 주어진 공간 안에서 연극 제작에 필요한 모든 시각적 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연기가 행해지는 영역은 무대를 둘러싸는 프로시니엄 아치(Proscenium Arch)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회화의 프레임과 같다. 연기의 범위는 때로는 좀 더 유동적인 것으로서 객석까지 확장되는 경우도 있다. 무대의 범위에 관한 정의가 무엇이건 간에 그것의 화면 구성은...2024.09.30
-
대중영화의이해과제2024.09.301. 서론 1.1. 영화 언어와 자연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 영화 언어와 자연 언어는 인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라는 점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타인에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며, 영화 역시 관객에게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식과 문법을 활용한다. 이처럼 두 언어는 모두 정보를 전달하고 의사소통을 하는 공통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또한 영화 언어는 자연 언어의 영향 아래 발전해왔다. 영화학자들은 영화에 자연 언어와 유사한 문법과 역할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용어나 분석 방...2024.09.30
-
영상이 의미생산하는과정2024.10.071. 영상이 의미를 생산하는 과정 1.1. 영상의 의미 생산 과정과 요소 1.1.1. 미장센(Mise-en-scene) 미장센(Mise-en-scene)은 영상에서 의미를 생산하는 중요한 요소로, 화면 구성, 인물의 위치, 조명, 소품, 의상 등의 시각적 요소들이 결합하여 특정한 분위기와 감정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화면 구성에 있어 인물들의 배치나 프레이밍, 앵글 등은 관객의 시선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며 장면의 의미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 인물들이 삼각형 구도로 배치되면 안정감 있는 분위기가 연출되지만, 비대칭적인 배...2024.10.07
-
세계영화기행2024.10.211. 세계영화기행 보고서 1.1. 서론 나는 세계 영화사의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이론'과 '카니발 이론'을 이용하여 2014년 4월 30일에 개봉한 영화 '역린'에 대하여 분석을 하겠다. 우선, '몽타주 이론'을 알아보기 전에 '몽타주'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몽타주(Montage)'는 프랑스의 '몽토르(Montor), 모으다, 합치다'의 뜻으로 건축용어로 사용 되었다. 지금은 의미보다는 다양한 벽돌을 쌓아 멋진 건물을 지어 올리듯, 영화의 'A'쇼트와 'B쇼트'를 이용해 새로운 뜻과 의미 'C'를 더욱 ...2024.10.21
-
시퀀스별 분석 씬별분석 쇼트별 분석 싱글쇼트 미장센 분석2024.10.141. 서론 영화 완득이는 김려령의 소설 완득이를 성공적으로 영화화시킨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을 영화로 각색하는 과정에서는 언어를 영상으로 바꾸는 등의 작업이 쉬운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완득이는 담백하고 깔끔하게 이를 수행해냈다. 소설과 영화의 전혀 다른 특성들, 예를 들어 허용되는 길이와 깊이, 서술의 방법 등 근본적인 표현의 차이를 잘 극복하고, 소설을 읽은 입장에서도 괴리감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영화만의 매력을 잘 이끌어냈다. 전체적으로는 무겁지 않은 이야기 흐름을 선택했지만,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 장애인 등 다양...2024.10.14
-
영화를 보고 시퀀스별 분석 씬별분석 쇼트별 분석 싱글쇼트 미장센 분석2024.10.141. 서론 영화 완득이는 김려령의 소설 완득이를 성공적으로 영화화시킨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일단 소설과 영화의 전혀 다른 특성들 이를테면 언어를 영상으로 바꾸는 등의 작업이 쉬운 일이 아님에도 완득이는 꽤나 담백하고 깔끔하게 이 작업을 수행해냈다. 허용되는 길이와 깊이, 서술의 방법 등 근본적인 표현의 차이의 간극을 잘 좁히고 소설을 읽은 입장에서 괴리감이 느껴지지 않는 동시에 영화만의 매력을 잘 이끌어냈다. 전체적으로는 무겁지 않은 이야기 흐름을 선택했지만 그 속에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 장애인 등 다양한 사회 계층의 서사를 ...2024.10.14
-
영상미학2024.10.141. 영화 '화양연화'의 색채 기법 분석 1.1. 서론 영상미학 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영상 제작 이론의 적절한 사례 (영화,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뉴스 장면 등 모두 가능)를 찾아 적용해 보고 분석한 연구 보고서 (리포트) 제출. 영상 제작에서 색을 다채롭고 다양하게 표현하는 색채 기법은 영상 제작의 기본 개념으로 자리 잡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화를 볼 때 스토리뿐만 아니라 영화가 주는 전체적인 이미지와 장면으로 떠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장센(Mise-en-Scene)은 프랑스에서 유래...2024.10.14
-
영상 미학2024.10.161. 영화 '화양연화'의 색채 기법 분석 1.1. 서론 영상 제작에서 색을 다채롭고 다양하게 표현하는 색채 기법은 영상 제작의 기본 개념으로 자리 잡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화를 볼 때 스토리뿐만 아니라 영화가 주는 전체적인 이미지와 장면으로 떠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장센(Mise-en-Scene)은 프랑스에서 유래된 말로, 본래 연극 무대에서 쓰였으며, 연출을 뜻한다. 영화제작에 있어 연출자는 영화의 스토리를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보이는 화면 안에서 빛, 조명, 색채, 실루엣, 그림...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