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사피엔스 에세이2024.10.211. 문서 개요 1.1. 도서 추천 및 서평 중국 역사, 미시사,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추천하고 서평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중국 역사 분야에서는 단죠 히로시의 『영락제』와 장융이 쓴 『서태후 1,2』를 소개한다. 두 책 모두 중국 역사에 대한 권위자의 평전으로 잘 평가받고 있다. 또한 중국 문학 작품으로는 모옌의 『개구리』와 츠쯔젠의 『뭇산들의 꼭대기』를 추천한다. 이 소설들은 중국 사회와 역사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고 한다. 중국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류전윈과 옌렌커를 언급하고 있다. 미시사 분야에서는 카를...2024.10.21
-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을 통한 영화 감상문2024.09.281. 영화와 문화에 대한 접근 1.1. 영화의 이해와 평가 1.1.1. 영화리뷰 영화리뷰는 새로 개봉되는 영화를 소개하거나, 영화에 대한 개괄적인 평가와 기본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따라서 영화리뷰에서는 영화 스토리의 전모를 파악하게 하는 것은 금기시되며, 흔히 대략적인 스토리만 포함될 뿐 스포일러에 해당되는 부분은 반드시 배제된다. 대신 영화의 장르, 감독, 주연배우 등과 같은 정보는 필수적으로 소개되어야 한다. 감독이나 배우들과의 인터뷰, 촬영현장에 대한 스케치적인 기술도 영화리뷰에 활용된다. 영화리뷰의 ...2024.09.28
-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2025.01.051. 새로운 역사학의 등장 1.1. 정치사에서 사회사로 정치사가 역사를 움직이는 원동력을 정치로 보고 영웅 중심적이며 지배자 중심적인 성격을 지닌다면, 사회사는 이러한 정치사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정치사가 "위로부터의 역사"라면 사회사는 "밑으로부터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사회사는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과 아날학파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이들은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계층이 갖는 사회적 성격을 규명하고 평범한 대중들의 일상생활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정치사가 위에서 결정되는 역사라면 사회사는 밑에서 일어나는 역사, 즉 노동...2025.01.05
-
식민사관 반박2024.10.141. 식민주의 사관과 동북공정 1.1. 식민주의 사관의 개념 1.1.1. 개념 식민주의 사관, 또는 식민사관이란 19세기에서 20세기까지 세게 여러 나라로 자신의 식민지를 확장하고자 하였던 제국주의 국가들에 의해 확립된 역사관이다. 식민지배를 실시하는 통치 국가에게는 당연히 권한이 있으며 그 지배를 받는 식민 국가에게는 열등함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하여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사관을 지칭한다. 즉, 식민주의 사관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역사관이라고 할 수 있다." 1.1.2. 한국의...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