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곰팡이 실험2024.09.111. 곰팡이의 분리 및 배양 1.1. 실험 목적 곰팡이는 토양, 물, 공기 등의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세균에 비해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세포의 균사상 진핵세포 생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형태학적으로 곰팡이를 분류하는 것은 실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실험 이론 및 원리는 다음과 같다. 실험 배경 배지의 pH를 낮추거나 살리실산나트륨 등의 화학 약품을 첨가하면 세균이나 효모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곰팡이를 분리하기가 쉽다. 따라서 곰팡이의 내산성을 이용하여 구연산 발효에 ...2024.09.11
-
나는 미생물과 산다2024.10.241. 미생물과 인간의 공존 1.1. 바이오 의약품 1.1.1. 단백질 의약품 단백질 의약품은 1세대 바이오 의약품으로, 유전자 재조합 또는 세포 배양을 통해 약을 만들어 생산한다. 최초로 만들어진 단백질 의약품은 대장균을 이용해 인슐린을 생산한 것이다. 대장균은 이분법으로 매우 빠르게 증식한다. 약 20분마다 한 번씩 분열하여 2배씩 늘어나는 기하급수적 증식을 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세균의 빠른 증식률은 멱함수 또는 지수함수 특성에 기인한다. 단백질 의약품은 유전자 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2024.10.24
-
미생물의 연구 방향2024.08.241. 서론 1.1. 미생물과 인간의 관계 미생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작고 기본적인 생물체로, 우리 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은 우리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인류는 미생물과 함께 살아가며, 이들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생물은 우리 인류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장내에 존재하는 유익한 미생물은 비타민 합성, 병원체들과의 경쟁 등을 통해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미생물은 농업에서...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