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잠수병 보건교육안2024.09.261. 직업병 예방 및 관리 1.1. 소음성 난청 1.1.1. 소음의 물리적 성상 소음은 공기압력이 높고 낮은 파동이 청각을 자극할 때 느끼는 청감각을 말한다. 소리의 물리적 특성은 진폭, 주파수, 주기로 구성되어 있다. 진폭은 주위 대기압 상하의 압력의 변화를 말하며, 주파수는 단위 시간 동안 진동한 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헤르츠(Hz)를 사용한다. 주기는 한 파장이 지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소리는 N/㎡의 단위로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을 사용하며 단위는 데시벨(dB)을 사용한다...2024.09.26
-
근로자 직업병 보건교육2024.11.201. 근로자 보건교육 계획서 1.1. 보건교육 대상자 및 주제 선정 이유 건설현장 근로자들을 위한 호흡기질환(진폐증) 교육의 대상자 및 주제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건설현장에는 각종 흙먼지와 석면 등 건설 부자재에서 유출된 가루들이 많이 흩날리고 있다. 이런 먼지들은 호흡기질환에 영향을 미치며, 작업환경 특성상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의 소요시간 또한 장기적이므로 지속적인 환경적 노출로 발생하는 호흡기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현대정밀화학, 포스코건설과 건설현장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MOU...2024.11.20
-
산업현장근로자를 위한근골격계질환 테이핑2025.01.091. 서론 1.1. 근골격계질환의 개념과 산업현장에서의 중요성 근골격계질환의 개념과 산업현장에서의 중요성이다. 근골격계질환은 근육, 힘줄, 인대, 관절 등의 누적된 외부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산업현장에서는 반복적인 동작, 무리한 힘의 사용,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으로 인해 근골격계질환이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이러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 능률 저하와 산업재해로 이어져 기업의 생산성과 근로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산업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근골격계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2025.01.09
-
물질안전보건자료2024.08.301.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제도 1.1. MSDS 등장 배경 MSDS 제도는 2012년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등장하였다. 이 사건은 국제사회 기준에 비해 약한 화학물질 관리 체계로 인해 수백명의 피해자가 발생한 사례였다. 이후 2016년에는 핸드폰 제조 공장에서 메탄올 급성중독 사건이 발생하면서 MSDS가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MSDS 기재 시 영업비밀에 대한 관리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2018년 MSDS 개선 방안이 마련되었고, 2019년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어 2021년...2024.08.30
-
지역사회간호학 산업보건2024.09.081. 산업보건간호 1.1. 산업보건의 정의와 목표 산업보건의 정의는 "근로자들의 건강 유지, 증진을 위해 작업이 인간에게, 그리고 일하는 사람이 그 직무에 적합하도록 마련하는 것"이다. 즉, 산업보건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며, 작업과 노동조건이 근로자들의 건강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보건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환경과 노동조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근로자의 건강장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둘째, 작업에 있어서 근로자들의 정신적, 육체적 적응을 도모하는 것이다. 셋째, 채용 시 ...2024.09.08
-
환경보건 요점2025.01.201. 서론 환경보건과 산업보건간호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개인, 집단 및 지역사회 대상자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 비용효과적인 보건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산업보건간호 및 환경보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산업보건간호와 환경보건의 주요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보건관리자 및 보건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실무능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산업보건간호 2.1. 산업장 보건관리 산업장 보건관리는 300명 미만 사업장의 경우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관리하며,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은 근로자건강센...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