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물권법정주의2024.09.181. 물권법정주의의 의의 1.1. 물권법정주의의 개념 물권법정주의의 개념이란 물권의 종류와 내용을 법률로 정하는 것에 한정하는 원칙을 말한다. 즉, 물권의 종류는 법률에서 인정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며, 나아가서 법률에서 인정되고 있는 종류의 물권이라 하더라도 설정된 물권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물권법정주의에 의해 물권법이 규정하고 있는 물권의 종류와 그 구체적인 내용은 정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채권법에서의 계약자유의 원칙과 대비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 민법상 물권법정주의...2024.09.18
-
민법 185조2024.10.051. 물권법의 개요 1.1. 물권과 채권의 차이 물권과 채권의 차이는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물권은 타인의 행위를 거칠 필요 없이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인 반면, 채권은 특정인에 대하여만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따라서 물권은 배타성이 있지만 채권에는 배타성이 없다. 둘째, 물권은 물권적 청구권이 인정되어 권리 보호가 더 강력한 반면, 채권은 배타성이 없어 모든 사람에게 권리보호를 주장할 수 있는 물권적 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 셋째, 물권은 내용이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물권 간에 병존할 수 없지만, 채권은...2024.10.05
-
물권법정주의 서론2024.10.051. 물권법 1.1. 물건의 정의와 특징 민법 제98조에 따르면 물건은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정의된다. 이는 물권의 객체가 되는 물건을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물권의 일물일권주의에 따라 하나의 특정한 독립된 물건인 유체물이 물권의 객체가 된다. 여기서 특정의 독립한 물건이란, 특정성과 독립성을 가지는 물건을 의미한다. 특정성은 물권의 직접성과 배타적 지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특정 물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집합물 위의 물권에 있어서는 구성부분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특정성을 잃는 것은 ...2024.10.05
-
방통대 채권각론2024.10.111. 채권법상 급부, 반대급부, 위험의 개념과 적용 1.1. 급부, 반대급부, 위험의 개념 채권법상 급부란 계약의 목적이 되는 채무자의 행위를 의미하며, 반대급부는 급부에 대한 대가로서 채권자가 이행할 채무를 말한다. 주로 물권적 성질을 띠는 채무가 급부, 금전적 성질을 띠는 채무가 반대급부로 구분되나,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상황과 시점에 따라 금전도 급부로, 물권도 반대급부로 된다. 민법상 위험이란 유효하게 성립한 채권관계에 있어서 급부가 당사자 귀책 없이 불능이 된 경우, 반대급부의 불이익을 누가 부담할 것인가의 법정...2024.10.11
-
민법총칙 중간고사2024.10.121. 권리 1.1. 의의 및 구별되는 개념 권리는 법이 인정하는 힘이다. 즉, 일정한 이익을 향유하기 위하여 법에 의해 허용되는 힘을 말한다. 권리는 내용과 작용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는데, 내용에 따른 분류로는 인격권, 재산권, 가족권, 사원권 등이 있고, 작용에 따른 분류로는 지배권, 청구권, 항변권, 형성권 등이 있다. 권리는 서로 충돌할 수 있는데, 물권과 물권, 채권과 채권, 물권과 채권 등의 충돌에서는 각각의 우선순위에 따라 해결된다. 1.2. 권리의 종류 1.2.1. 내용에 의한 분류 권리는 그 내용이 되는 생활...2024.10.12
-
물권의 의의와 특성2024.11.111. 물권법의 주요개념 1.1. 물권과 채권의 차이 물권은 타인의 행위를 거칠 필요 없이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인 반면, 채권은 특정인에 대하여만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따라서 채권에는 배타성이 없지만 물권에는 배타성이 존재한다. 물권은 그 사용·수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물권적 청구권이 인정되지만, 채권은 배타성이 없으므로 모든 사람에게 권리보호를 주장할 수 있는 물권적 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 또한 물권은 내용이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물권간에 병존할 수 없지만 채권은 동시에 수개의 같은 채권이 병존할 수 있다. 물...2024.11.11
-
담보물권 의의와 종류2024.11.111. 물권법 1.1. 물권과 채권의 차이 물권은 타인의 행위를 거칠 필요 없이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인 반면에, 채권은 특정인에 대하여만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따라서 물권은 배타성이 존재하지만, 채권에는 배타성이 없다. 물권은 그 사용·수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물권적 청구권이 인정되지만, 채권은 배타성이 없으므로 모든 사람에게 권리보호를 주장할 수 있는 물권적 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 또한 물권은 내용이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물권간에 병존할 수 없지만 채권은 동시에 수개의 같은 채권이 병존할 수 있으며, 물권과 물...2024.11.11
-
전세권, 부동산공법, 농지전용허가, 타용도 사용 비교, 농지보전부담금2024.11.021. 전세권 1.1. 의의 및 법적성질 1.1.1. 의의 전세권은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 사용 수익하며 그 부동산 전부에 대하여 후순위 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전세권은 부동산소유자와 전세권을 취득하려는 자 사이에 설정계약과 등기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보통의 모습이다. 그 밖에 전세권의 양도나 상속을 통해 취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세권은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용도에 좇아 사용 수익하고 전세권이 소멸하면 그 부동산을 반환하고 전세금을 ...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