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우리말과 북한의 품사비교2024.10.311. 언어 이질화와 통합을 위한 노력 1.1. 남북 언어의 이질화 배경 1.1.1.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체제 남과 북은 광복과 더불어 국토가 둘로 나뉘면서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 체제를 갖게 되었다. 이것이 민족어가 이질화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받아들였고, 북한은 사회주의 이념을 받아들였다. 이리하여 북은 유물론과 기능적 관점, 남은 이상주의적 관점을 언어에 갖게 되어 서로 다른 언어체제를 수립하여 왔다.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사회주의 언어 이론과 언어관을 수용하고 그 바탕에서 ...2024.10.31
-
표준발음법 복수발음법에 대해 토의해봅시다2024.10.281. 북한 언어의 실상과 특징 1.1. 북한 언어 정책의 현황 해방 후 북한은 지금까지 4번에 걸친 철자법의 개혁과 문맹퇴치 사업, 그리고 이에 따른 한자 해지, 말 다듬기 운동, 문화어 운동 등으로 인하여 남한과 언어 생활에서 많은 차이를 초래하였다. 북한은 언어가 혁명과 건설의 힘있는 무기라고 하는 유물론적 언어관에 근거하여 언어 정책을 설정하고, 당 통제하에서 획일적으로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에서는 일반적인 언어 변화 속도를 훨씬 앞질러 빠르게 언어가 변하고 있다. 특히 '60년대 후반 '문화어'라는 새...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