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경험기술서2024.09.181.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1.1. 의례생활 1.1.1. 제사 원래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기차는 대전이 아닌 부여를 거쳐서 갈 예정이었다. 하지만, 부여에 사는 많은 문중 사람들이 극구로 반대하여 부여가 아닌 대전으로 가게 하였다. 그 정도로 부여는 선비의 후예라 자부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이 사는 동네였다. 실제로 우리 할아버지는 기차가 생긴다고 할 때 가문사람 모두를 동원하여 반대를 하였다. 하필, 기차가 지나가기로 한 곳이 우리 선산과 매우 가까웠기 때문이었다. 당시, 할아버지와 할아버지 가문 사람들에게는 무덤을 옮기는 것 ...2024.09.18
-
목과대 족보2024.10.151. 한국 친족관계의 변화 1.1. 산업화 이전 1.1.1. 17세기 중반 이전의 친족관계 17세기 중반 이전의 한국 친족관계는 중국의 종법제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삼국시대부터 한국사회 내에서는 부계 계보뿐만 아니라 모계 계보도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지연성과 혈연성이 강한 친족집단이 형성되어 있었다. 중국이 장남 계열의 철저한 부계 친족 체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혼인이나 거주 지역의 영향을 받아 부계와 모계를 모두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신분제가 확립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성(姓)...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