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TPLT2024.10.171. 외국어 교육의 교수 기법과 원리 1.1. 언어 교수법에 대한 정의 언어 교수법이란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사용과 언어 학습에 대한 일관된 체계와 원리를 의미한다"이다. 언어 교수법은 크게 교수 기법(techniques)과 원리(principles)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둘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교수 기법은 언어 학습에 대한 실천적인 행동을 나타내며, 원리는 그 행동에 대한 사고와 이론적 토대를 의미한다. 따라서 하나의 교수법은 사고와 행동의 연계성을 통해 형성되며, 어떤 교수법을 선택할 것인가는 학습 결과에 의해 ...2024.10.17
-
언어 교수의 흐름을 정리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여 제시해 봅시다2024.08.231. 서론 1.1. 외국어 교육의 변화와 문법 교육 논쟁 외국어 교육의 초점이 전통적인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 의사소통식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으로 이동하면서 외국어 교수·학습 과정에서도 문법 교육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쟁이 있어 왔다"". 1840년부터 1940년까지의 유럽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교수법은 제2언어 학습 과정에서 문법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은 필수적인 절차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외국어 습득을 위해서는 문법적인 설명을 통하지 않고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직접 경험하며...2024.08.23
-
외국어습득론과목에서 언어교수 이론의 흐름을 정리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여 제시해 봅시다2024.08.171. 서론 1.1.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과 교재 개발 배경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과 교재 개발 배경은 다음과 같다"" 먼저 1940년대까지의 대표적인 언어 교수법은 문법-번역식 교수법이었다. 문법 규칙과 어휘 교육을 통한 문어 능력, 학문적 능력 배양이 교육의 목표였지만 의사소통 능력으로 전이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 한국어 교재에 이 교수법이 반영되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주로 받아들여졌다. 이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 ...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