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내용 보호 교수요목과 병존 언어 교수요목의 특징 및 차이점2024.09.181. 서론 교수요목은 교육과정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다른 개념이다. 교육과정은 교육정책을 반영하여 교육 목표와 내용, 교수 방법, 평가를 포함하는 총체적인 계획이다. 반면 교수요목은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 교육 목표와 내용, 교수 방법을 구체화하여 설계한 것이다. 즉, 교수요목은 평가를 제외한 교육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을 체계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수요목은 어떤 교과의 전 과정에 대한 학습 항목을 배열하고 구체화한 계획이며, 교과의 기본 정신과 철학을 단계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교수·학습 요소에 대한 상세...2024.09.18
-
국제 통용 표준 한국어 교육 교재과 서울 한국어 교재를 비교2024.10.151. 서론 교육의 3요소는 교사(누가), 학습자(누구에게) 그리고 교육의 내용(무엇을)이다. 교재는 이 중에서 교육의 내용을 담고 있는 총체적인 도구이다. 학습자의 학습 목표와 수준에 따라 교재를 선정하지 못하면 학습자에게 필요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수업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한국어 초급 교재 3종을 선정하여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에 따라 어떠한 교재를 선정해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2. 각기 다른 성격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2.1...2024.10.15
-
대체교재로 부교재을 사용할 때 장,단점2024.08.311. 서론 교수요목(Syllabus)의 정의는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목록과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 사전적인 의미는 '학교 교육에서 교과목마다 반드시 가르쳐야 할 줄거리'이다. 또 다른 의미로는 '한 교과의 교육 내용을 주제별 항목으로 조직하여 열거한 것.'이다. 따라서 교수요목은 그 교과에 어떤 내용 항목들을 포함하는가를 보여준다. 교수요목은 결과 지향적 교수요목과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으로 분류된다. 이번 과제에서는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기관의 한국어 초급 교재 3종을 조사하여 여기에 어떠한 교수요목이 적용되었는...2024.08.31
-
문법적교수요목2024.09.051. 교수요목의 정의와 종류 1.1. 교수요목의 정의 교수요목이란 교육 내용과 순서, 방법의 개요를 보여주는 교육 과정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맥케이(1978)는 교수요목을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핵심 내용과 배울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원리를 제공해놓은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쇼(1994)는 ""학과의 내용을 상세화하고 배울 항목의 순서를 정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 과정 활동의 일부""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리차드(2001)는 교수요목을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목록과 코스...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