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라틴어 공부법2024.09.171. 외국어 교수법 1.1. 문법 번역식 교수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대상 외국어를 모국어로 번역함으로써 가르치는 방법으로, 언어 학습의 목적이 문헌 연구의 도구로써 또는 학습자의 논리력을 키우는 데 있다고 전제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기본 원리가 있다. 첫째, 언어는 말보다 글이 우선이며, 둘째, 외국어 학습은 연역적인 과정이며 모국어에 의존하여 학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법의 특징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목표어의 문법을 빠른 시간 내에 모국어로 설명하여 이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휘를 목록의 형태로...2024.09.17
-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교육할 때 현재의 시점에서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토론하시오2024.09.221. 한국어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1.1. 형태 중심의 교수법 1.1.1. 문법 번역식 교수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문법 규칙의 설명과 번역에 중점을 둔 문자 언어 중심의 교수법으로, 19세기 초 유럽에서 라틴어 고전을 읽기 위해 정착된 학문 목적을 바탕으로 한 교수 방법이다. 즉,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연역적인 방법을 통해 체계적인 문법 설명이 가능하며 정확한 번역 능력을 기를 수 있어 번역을 위한 한국어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모국어를 사용한 문법 설명에만 치중하므로, 학습자의 의...2024.09.22
-
한국어표현교육론 말하기 수업 단계와 활동 유형 분석2024.11.281. 초급 및 중급 한국어 말하기 수업 설계 1.1. 말하기 수업의 단계 말하기 수업의 단계는 다섯 단계로 발전해왔다"". 첫 번째로,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말하기이다"". 이는 외국어 교실에서 가장 먼저 실행된 교수법으로, 라틴어와 희랍어 등의 고전어를 수업할 때 문법을 통하여 책을 번역하거나 읽어서 교양을 쌓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이후 그 목적이 조금씩 변화했는데, 이전에는 정신 수양이나 지적 발달을 지향하고 문법 자체에 초점을 두었으며 수준 있는 텍스트의 해독과 번역을 목적으로 했다면, 현대적인 문법 ...2024.11.28
-
학습과 습득의 차이2024.10.091. 언어습득과 언어교수 1.1. 언어습득 이론의 이해 1.1.1.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 스키너는 어린 아이가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언어를 우발적으로 모방하였을 때 아이에게 주변 사람들이 칭찬을 하거나 관심을 가지는 것이 강화요인이 되어 습득할 수 있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강화요인 등과 같은 조작적 조건으로 아이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스키너는 강화(Reinforcement)의 개념을 통해 언어습득을 설명하였는데, 강화란 이전 행동의 빈도를 즉각 늘리는 것으로서, 특...2024.10.09
-
한국어교재및문형선정 후에2025.04.081. 서론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교재의 발전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한국어 교육은 고려시대부터 통문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유학생 파견과 원어민 강사 초빙 등의 교육 방식이 활용되었다. 20세기 초반부터는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교수법은 목표어와 모국어 간의 번역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식으로, 문어 능력과 학문적 능력 배양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이 교수법은 듣기와 말하기 기능 습득이 어렵고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후 1950년대부터 1990...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