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알타이어족의 특징2024.11.211. 알타이어족 언어의 특징 1.1. 알타이어족 언어 소개 알타이어란 우랄 산맥의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지역에서 온 언어들을 포함하는 언어 동조대의 영역으로, 19세기부터 시작한 오래된 언어 연구의 유명한 이론 중 하나이다. 이 어족은 중앙아시아의 알타이 산맥에서 이름을 따왔는데, 알타이 제어 이론은 학자들의 안정적인 학문적 지지를 받고 있지만, 일부 비교언어학자들은 알타이 제어 이론을 배척하고 있다. 18세기에 처음 제시된 알타이어족은 1960년대까지 널리 받아들여졌고, 많은 백과사전들과 책들에 여전히 남아 있지만, 1950년...2024.11.21
-
-느라고와 -아서/어서2025.02.041. 서론 1.1. 동사 '-느라고'의 개념과 특성 '-느라고'는 동사 앞에 결합하여 앞 문장이 뒤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가 됨을 나타낸다. '-느라고'는 동사에 결합할 때 받침이 있는 경우 '-느라고', 받침이 없는 경우 '-느라고', 'ㄹ'을 포함한 경우 'ㄹ'이 탈락하고 '-느라고'가 결합한다. 보통 '-느라고'가 사용된 경우 뒤의 문장이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가 동일해야 하며, '-았-', '-었-', '-겠-' 등의 과거나 미래 시제와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느라고'는 '-아...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