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한센병2024.08.281. 서론 '성경에서 우리는 문둥병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나는 항상 성경을 보면서 문둥병 무슨 병이길래 그렇게 무섭게 묘사를 했나 궁금했었다. 레위기에서는 문둥병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성경에서 문둥병이 부정한 이유는 죽음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성경 속 하나님께서는 모세와 아론에게 누구든지 피부에 무엇이 돋아나거나 종기와 부스럼과 색깔이 나타나면, 일단 피부병 즉 문둥병으로 간주하고 그를 제사장에게 데리고 가서 진찰을 받도록 명하셨다. 나는 이토록 모세 시대 가나안의 아주 심한 피부질환인 문둥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2024.08.28
-
천 개의 파랑2024.08.121. 사랑과 윤리: 『천 개의 파랑』을 중심으로 1.1. 서론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단원을 보면, 문학에서 자주 나오는 사랑과 이별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내용이라고 쓰여 있다. 이처럼 사랑은 언제, 어디서든지 보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이야깃거리이며, 사랑 이야기를 다룬 로맨스라는 장르는 문학뿐만 아니라 미디어, 음악 등 다양한 매체에서 꾸준히 인기를 끌어왔다. 사랑에 대해 생각을 하다 보니,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일상 속에서 어렵지 않게 사랑을 만날 수 있지만, 그...2024.08.12
-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독후감2025.04.071. 소개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사회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질병은 '문둥병', '나병'등으로 불렸던 한센병이었다. 오늘날 한센병은 법정전염병 중의 하나로, 전염성이 높지 않고 치료가 가능한 질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 질병은 불과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사회적으로 두려움과 혐오의 대상이었다. 이는 한센병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권력 기관의 잘못된 방역 정책으로부터 비롯된 결과였다. 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쳐서 발생하였던 한센인 관련 제 부정적인 소식들은 한센병과 관련된 여러 부정적인 인식을 악화시켰다. 해방 이후...2025.04.07
-
구약시대 대제사장 의복의 관한 연구2025.04.151. 서론 1.1. 구약시대 대제사장 의복에 관한 연구 구약성경에는 대제사장의 의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대제사장의 의복은 하나님께서 지정하신 것으로, 이는 대제사장이 하나님 앞에서 백성들을 대표하여 섬기는 직분을 상징한다. 대제사장의 의복은 여러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속옷인 세마포로 만든 상의와 세마포로 만든 허리띠이다. 이는 순결과 정결을 상징한다. 둘째, 겉옷인 에봇이다. 에봇은 청색, 자색, 홍색 실과 금실로 화려하게 짜여졌으며, 이는 대제사장의 거룩함과 위엄을 나타낸다. 셋째, 가슴받이로, 이 가슴받...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