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고관절2024.10.021. 고관절 전치환술 1.1. 정의 고관절 전치환술이란 고관절(골반 관절 또는 엉덩이 관절)을 이루는 골반골 부분인 비구와 대퇴골의 골두를 모두 인공으로 만든 삽입물로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고관절은 무릎 관절에 이어 두번째로 큰 관절로 몸통과 다리의 연결 부위인 사타구니에 위치한다. 고관절은 공과 같이 생긴 대퇴골의 골두와 이 공 부분을 감싸고 있는 소켓 모양의 골반골인 비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퇴골의 골두와 비구의 표면은 매우 부드럽고 빛나는 지주 빛의 연골로 덮여 있으며, 이 연골은 관절에 주어지는 압력 또는 힘을 완충하...2024.10.02
-
대퇴경부 골절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A2024.10.231. 서론 대퇴골 경부 골절은 노인에게 큰 위험 부담을 증가시키며, 많은 합병증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이는 노인의 뼈 강도 약화, 골다공증 발병, 척추 및 관절 퇴행, 근육량 감소로 인한 낙상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또한 낙상으로 인한 손목, 상지, 하지, 척추 등의 골절 발병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골절로 인해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고, 반대로 낙상으로 인해 골절이 반복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나아가 골절로 관절가동범위가 줄어들면서 움직임이 제한되어 정맥염, 폐렴, 염증, 출혈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하여 만성질환으로 이어...2024.10.23
-
폐쇄성 대퇴경부 골절 욕창의 위험성 간호진단2024.11.071. 골절 개요 1.1. 정의 골절(fracture)은 외부의 힘에 의해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로, 뼈가 부러진 상태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은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될 수 있고, 장기적인 부동으로 인해 합병증이 유발되므로 간호사는 골절 환자의 건강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합병증과 기형을 예방해야 한다." 1.2. 원...2024.11.07
-
hip AVN2024.12.081. AVN of hip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1.1. 정의 AVascular Necrosis (AVN), 무혈관괴사는 일명 무균괴사(aseptic nerosis)라고 하며, 뼈로 가는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한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AVN of hip)는 이러한 무혈관괴사가 대퇴골두에 발생한 질환이다. 즉, 대퇴골두로 가는 혈액순환이 어렵게 되어 대퇴골두가 괴사, 파괴되는 질환이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주로 중년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한쪽 고관절에 발생한 경우 반대쪽에도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2024.12.08
-
의사지시기록지2024.09.011. 간호력 사정 1.1. 일반적 특성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환자명은 이●●이며, 69세 여성이다. 결혼상태는 기혼이고 직업은 주부이며, 교육정도는 고졸이다. 진단명은 Coxarthrosis, unspecified(변형성고관절증)과 AVN(avascular necrosis, 무혈관성 괴사)이다. 5년 전 좌측 고관절 부분 치환술(Lt BPHA, bipolar hemiarthroplasty)을 시행한 과거력이 있다. 최근 6개월 간 우측 고관절통(Rt hip pain)을 주호소로 내원하여 현재 AVN이 의심되어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