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예방 관리2024.12.041. 요로감염 관리 1.1. 요로감염의 정의 및 분류 요로감염은 일반적으로 요도구, 요관, 방광, 신장을 포함한 요로계에 세균이나 진균이 침범하여 발생한 감염을 말한다. 요로감염은 임상적으로 신우신염, 방광염, 무증상 세균뇨로 구분할 수 있다.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 또는 무증상 요로감염이란 증상이나 징후 없이 적절하게 채취된 요검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세균이 동정된 경우를 말한다. 보통 소변 배양 검사에서 두 종류 이하의 균이 105 CFU/mL 이상 분리된 경우를 말한다. 급성 단순 요...2024.12.04
-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2025.06.121. 서론 1.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의 개념과 중요성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요도구, 요관, 방광, 신장을 포함한 요로계에 세균이나 진균이 침범하여 발생한 감염을 말한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방광염, 신우신염, 심내막염, 패혈증, 뇌수막염 또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의료관련 감염으로, 미국에서는 연간 약 500만 명의 환자가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으며, 국내 중환자실에서는 재원 환자의 84%가 유치도뇨관을 유지하고 있다. 유치도뇨관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