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고려 무신정권의 붕괴2024.11.241. 고려 무신정권의 전개과정과 의의 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 의종 24년(1170년) 음력 8월 30일에 상장군 정중부와 이의방, 채원, 이고, 이의민 등의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은 문신들의 차별과 문벌귀족사회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이 정변을 일으켰다. 정변의 발단은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했을 때 발생했다. 무신들은 보현원에 모여 있던 문신들을 공격하여 대량 살해했다. 이후 의종을 거제현으로, 태자는 진도현으로 유폐시킨 뒤 의종의 동생 왕호를 새 왕으로 세...2024.11.24
-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붕괴2024.11.241. 무신정변과 무신정권의 성립 1.1. 무신정변의 배경과 발생 무신정변의 배경과 발생은 다음과 같다. 고려 시대의 무신들은 문신에 의한 차별과 억압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의종(毅宗)은 문신과 환관들의 영향력 아래에서 유흥에 빠져 있었고, 이로 인해 무신들은 정치적 소외와 천대를 받았다. 대표적인 예로 젊은 문신인 한뢰가 대장군 이소응을 때리는 일이나, 김돈중이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사건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무신들에 대한 차별은 상장군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의 세력 형성으로 이어졌다. 1170년 8월 30일, 이 ...2024.11.24
-
고려 무인정권의 붕괴2024.11.241. 고려 무신정권 1.1. 무신정변의 발생과 정권 수립 1.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시대 의종 24년(1170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자신들의 세력을 강화한 사건이다. 이 사건의 결과 무신정권이 100년간 지속되었다. 구체적으로 무신정변은 1170년 음력 8월 30일 보현원에서 발생하였다. 상장군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이 보현원에서 문신들을 공격하여 한뢰, 김돈중 등 많은 문신들을 살해하였다. 이후 무신들은 의종을 거제현으로, 태자를 진도현으로 유배보내고 의종의 동...2024.11.24
-
고려시대의 오병수박희2024.11.251. 고려 무신정변과 무신정권 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시대에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왕을 세워 자신들이 권력을 세습하며 고려를 지배한 사건이다. 고려 의종 24년인 1170년 음력 8월 30일, 상장군 정중부와 이의방, 채원, 이고, 이의민 등의 무신 장수들이 보현원에서 일으킨 쿠데타로 시작되었다. 이 정변으로 문신들이 대거 살해되었고, 의종이 폐위되어 거제도로 유배되었다. 의종의 동생 왕호가 왕위에 올랐지만 실권은 무신들이 장악하였다. 무신정변은 "무신의 난"이라고도 부르며, 정변이 일어난 경인년에...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