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트롤리딜레마2024.10.111. 기독교 공동체와 윤리 1.1.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의 특징 그리스 문화의 헬레니즘과 유대교 및 기독교의 헤브라이즘은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헬레니즘은 인간중심적이고 육체적 본능을 중시하는 반면, 헤브라이즘은 신 중심적이고 영혼적, 금욕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헬레니즘은 현실세계에 바탕을 두고 객관적 사고에 의해 과학의 세계에 기여해왔다. 반면 헤브라이즘은 내세 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주관적 사고에 의해 신앙의 세계에 기여해왔다. 두 사상은 가장 큰 죄를 신에 대한 도전, 즉 분수를 모르고 신과 같이 되고자 하는...2024.10.11
-
영화레포트2024.11.021. 영화 분석 1.1. "신은 죽지 않았다" 1.1.1. 영화 정보 영화 "신은 죽지 않았다"는 2014년에 미국에서 개봉된 영화로,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감독은 해롤드 크론크이며, 주연인 조쉬는 쉐인 하퍼, 교수님인 라디슨은 케빈 소보, 인터뷰어 에이미는 트리샤 라파체가 맡았다. 각본은 Chuck Konzelman과 Cary Solomon이 작성했으며, 제작진으로는 Michael Scott, David A.R. White, Russell Wolfe, Anna Zielinski, Lisa Arnold, Jarred Co...2024.11.02
-
교육철학자사상2024.11.111. 실존주의와 실존철학자의 사상 1.1. 실존주의의 역사적 개요 실존주의는 20세기 전반(前半)에 합리주의와 실증주의 사상에 대한 반동으로서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철학 사상이다. 실존이라는 것이 현대적인 의미로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덴마크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1813–1855)에서부터이다. 키에르케고르는 힘겨운 기독교와의 논쟁으로 자신의 삶을 마감했으며 자신은 신보다는 인간의 양심을 믿는다고 했지만 그는 유신론적인 실존주의자로 말하여진다. 실존철학의 무신론적인 것은 니체(1844–1900)에 의해서부터이다. 그...2024.11.11
-
도스토예프스키 악령2024.12.191. 서론 1860년대 러시아에는 무신론, 이상주의, 자유주의 등의 새로운 사상들이 물밀 듯 밀려오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외래사상을 깊은 고민 없이 받아들였으며, 진취적이고 개혁적이라는 점만을 앞세웠다. 이로 인해 현실과 괴리된 공상과 위선에 빠진 다양한 인간군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작품 「악령」의 주인공들 또한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방황하며 내적 갈등을 겪게 된다. 작가 도스토옙스키는 이를 통해 러시아 사회에 유입된 외래사상의 폐해와 인간의 어두운 내면을 날카롭게 그려내고자 했다. 2. 작품 소개 2.1. 개요 ...2024.12.19
-
신 만들어진 위험2024.08.311. 신, 만들어진 위험 – 당신의 믿음은 필요 없다 1.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요즘 신종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이 개발되고, 최근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하면서 여러가지 부작용에 따른 불신이 세계적으로 문제시 되고, 접종을 거부하는 등 세계적인 이슈가 연일 보도 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과학적 실험에 기반한 통계적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임상 실험 결과가 이러한 불신을 증폭하여 더욱 두려움에 떨게하는 듯 하다. 코로나 19 뿐만 아니라, 사회에 폭넓게 퍼져있는 무분별한 믿음에서...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