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주사제 오투여2024.09.221. 심전도 분석 및 부정맥 1.1. 심전도의 정의 및 구성요소 심전도는 체표면에서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 네덜란드 의대 교수인 'Willem Einthoven'에 의해 개발되었다. 심장세포의 탈분극과 재분극으로 형성된 전기적 흐름을 증폭시켜 기록한 것인데, 전기적 흐름의 방향과 전극의 위치에 따라 파형이 달라진다. 심전도에 기록되는 파형은 P, Q, R, S, T, U로 표기되며, 이 중 P파는 심방의 탈분극으로 형성되는 파형이기 때문에 심전도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며 이는 심방수축을 의미한다. 정상 P파...2024.09.22
-
심전도 리듬2025.01.221. 심전도 리듬 1.1. 정상 심전도 리듬 정상 심전도 리듬은 우심방 상부에 있는 굴심방 결절에서 분당 60~100회의 전기적 자극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 자극이 심방을 통과하면서 심방수축을 유발하고 방실결절에 도달한 뒤 잠깐 지체되었다가 히스속을 타고 양쪽 각을 통해 좌우 심실로 내려가서 푸르킨예 섬유에 전달되면 심실수축이 일어난다. 방실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잠깐 지체하는 동안 심실은 보다 많은 혈액을 채울 수 있다. 굴심방 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을 일으키지 못한다면, 방실결절에서 분당 40~60회의 전기적 자극을 일으킨다...2025.01.22
-
CPR 및 상기도 확보 (I-GEL) 방법2025.01.301. 심폐소생술(CPR) 1.1. 심폐소생술(CPR)의 정의와 중요성 심폐소생술(CPR)은 심장마비(심정지)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응급처치이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으로의 혈액순환이 중단되어 뇌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심폐소생술을 통해 심장과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함으로써 뇌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은 심...2025.01.30
-
심정지 사례연구공모전 대상 간호과정 연구2025.03.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정지는 심장 펌프 기능이 정지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로의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조직의 기능이 정지되는 상태이다. 이는 최근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급성 심질환 및 순환계 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이라 할 수 있다.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에 이르게 되므로, 의료인으로서 심정지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 방안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정지의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