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우리의 적은 누구인가2024.09.181. 우리의 적, 북한 1.1. 북한의 대남전략과 '남조선 혁명' 북한은 '한국을 赤化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대남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남조선 혁명」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북한은 「남조선 혁명」의 성격을 「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 혁명」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사회를 「美帝식민지·파쇼독재 체제」로 인식한데 기초하여 駐韓美軍을 철수시킨 후(민족해방) 한국의 反共정부를 전복시키고 노동계급의 독재를 지향하는 「人民 정권」을 수립(인민민주주의 혁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북조선 혁...2024.09.18
-
6.25 전쟁과 북한의 대남도발2024.11.121. 북한의 대남전략과 도발사례 1.1. 북한의 대남 혁명론과 대남전략 1.1.1. 혁명적 민주기지론에 입각한 무력통일 추구 북한은 '혁명적 민주기지론'에 입각하여 무력통일을 추구하였다. 북한은 미·소 양국 군대의 동시철수를 '국토완정과 민족통일'의 선결조건으로 내세웠다. 김일성은 소련의 도움을 받아 군사력을 증강시켰고 스탈린으로부터 남침에 대한 승인과 전쟁지원을 확약 받았다. 제주도 4·3사건, 여수·순천사건, 무장게릴라 남파 등 폭력도발을 통해 남한 군사력의 분산과 사회혼란을 조성하며 1950년 6월 25일 '민족해방전쟁'이...2024.11.12
-
한국사 북한2024.12.051. 북한 통일정책 변천사 1.1. 정권수립에서 1950년대까지의 통일방안 1.1.1. 무력통일 준비 북한은 정권 수립 이후 6.25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냉전 구도와 주한미군 철수, 북한의 체제 정비 및 군사력 우위 확보 등을 배경으로 무력통일을 준비하고 시도하였다. 이 시기 북한의 통일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북한은 통일 문제의 발생 원인이 소·미 양국군대의 진주에 있다고 주장하다가 점차 "미군의 남한 강점"만을 강조하였다. 1948년 9월 당시 내각수상 김일성은 "민주주의 자주 독립국군대의 철수"를 실천...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