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0개
-
오마하 간호진단2024.10.311. 대상자의 건강관리 문제 1.1. 영양 관련 문제 대상자의 영양 관련 문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대상자는 BMI가 18.5 미만으로 저체중이며, 혈압이 150/90mmHg로 높고 혈당이 163mg/dl로 높은 상태이다. 이는 이상적인 식단을 섭취하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대상자는 아침식사를 자주 거르고, 점심으로 라면이나 빵과 같은 밀가루 음식을 주로 섭취하고 있다. 또한 배가 고파도 밥을 반 공기 정도만 섭취하는 등 전반적으로 부적절한 식단을 가지고 있다. 이는 올해 초 대장용종 제거 수술 이후...2024.10.31
-
아동간호학 신생아패혈증 케이스스터디2024.11.03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달과 함께 신생아 중환자의 치료 성적이 괄목할만한 향상을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패혈증은 신생아 사망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남아 있다. 패혈증은 감염에 의한 심한 전신 반응으로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의 하나이며 조발형(early onset), 지발형(late onset) 및 병원 내 감염에 의한 패혈증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패혈증은 감염, 염증반응 및 전신성 질환이라는 패...2024.11.03
-
투약사고 윤리적2024.11.031. 서론 1.1. 주제 선정의 이유 투약은 질병의 회복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인체에 의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행위이다"" 한 과정에서라도 실수가 있다면, 바로 그 파장은 환자에게로 가고, 가볍게는 그냥 관찰 정도만 필요한 경우에서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의료인 자신도 윤리적, 법적인 책임을 지어야 한다"" 아무리 투약오류가 사소하더라도, 환자에게는 아주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투약오...2024.11.03
-
간호연구방법론 유치도뇨2024.10.0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의료 관련 감염은 기관지 내관,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 등을 이용한 침습적 의료처치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한 노인, 만성질환자 및 면역력 저하 환자 증가,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유치도뇨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침습적 카테터 사용은 방어기전의 손상을 야기하여 의료 관련 감염을 증가시킨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은 전체 의료 관련 감염의 40.0%에 해당하며 입원 ...2024.10.03
-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배액관의 종류와 사용법2024.09.19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1.1. 구역관리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는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수술실은 크게 제한구역, 준 제한 구역, 허용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에 따라 착용해야 할 복장이 다르다" 제한구역은 수술실, 수술준비실, 마취준비실, 회복실, 수술실 복도 등이며, 이 구역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은 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해야 한다. 준 제한 구역은 소독준비실, 외래환자 준비실, 갱의실 등이고 수술복장, 모자, 깨끗한 신발 ...2024.09.19
-
산후출혈 케이스2024.09.171. 산후출혈 관련 간호 1.1. 분만 과정별 특징 분만 과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분만 1기는 임산부마다 다른데, 특히 자궁 입구가 본격적으로 열릴 준비를 하는 기간은 임산부마다 다양하다. 자궁 입구가 2cm 열린 상태부터 완전히 열릴 때까지의 시간을 보면 초산모에서는 평균 8시간, 경산모에서는 평균 5시간이 걸린다. 진통 간격이 짧아질수록 자궁 입구는 점점 크게 열린다. 일반적으로 진통의 간격이 5~6분일 경우 자궁 입구는 5cm 이하로 벌어지고, 2~3분 간격일 때 7~9cm 정도가 된다. 또한 초산모인 경우에는 5cm ...2024.09.17
-
응급실 감염관리2024.09.131. 응급실 감염관리 현황 1.1. 응급실 감염의심환자 선별절차 응급실 감염의심환자 선별절차는 다음과 같다. 환자 내원 시 문진을 통해 감염력을 확인하고, Triage 직원이 보호구를 착용한다. 전염성 감염 질환이 없는 경우에는 표준주의를 적용하고, 전염성 감염 질환이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에는 격리구역으로 이동시킨다. 면역저하자의 경우 보호격리(역격리)를 실시한다. 격리구역으로 이동한 환자에게는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중 해당되는 격리주의를 적용한다. 공기주의에는 N95 마스크, 비말주의에는 외과용 마스크, 접촉주...2024.09.13
-
수술실2024.09.251. 수술실 기본 기구 및 장비 1.1. 기본 기구 1.1.1. Hemostat Hemostat은 출혈이 있는 혈관이나 조직을 꼭 짓거나 잡아서 지혈을 하는 도구이다. 주로 세 가지 종류의 hemostat이 존재한다. 첫째, Kelley hemostat은 보다 큰 혈관이나 조직을 압박하거나 잡을 때 사용한다. 둘째, Mosquito hemostat은 작은 조직을 잡거나 압박할 때 사용하며, 끝이 곧거나 굽어있는 형태로 되어있다. 셋째, Vessel clamp는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고 눌러주는데 이용하며, 혈관일 경우 지...2024.09.25
-
소독(살균) 기전 및 소독법을 분류하고, 소독 시 고려할 사항과 주의사항에 대해 서술하시오2024.10.051. 소독 및 멸균의 원리와 방법 1.1. 소독(disinfection)의 개념과 원리 소독(disinfection)은 병원균의 감염력을 제거하거나 상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이다. 소독은 병원체의 생활력을 파괴하여 감염력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보통 소독은 높은 수준의 살균작용을 통해 달성되지만, 병원균의 아포에 대한 살균효과는 제한적이다. 소독의 기전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응고시켜 병원균체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든다. 둘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2024.10.05
-
여성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수술명(C/SEC[cpd]) 전반적인 수축골반으로 인한 불균형에 대한 산모관리 자료는 많이다운받지 말고 하나만2024.09.291. 서론 1.1.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1.1.1. 정의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은 "아두의 조건과 산부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맞지 않아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아두가 너무 크거나 산부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분만 시에 아두 하강이 어렵고 아두가 골반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분만 중단이 흔히 일어나는데, 주로 골반 입구에서 일어나지만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발생할...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