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6개
-
산후출혈 케이스2024.09.171. 산후출혈 관련 간호 1.1. 분만 과정별 특징 분만 과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분만 1기는 임산부마다 다른데, 특히 자궁 입구가 본격적으로 열릴 준비를 하는 기간은 임산부마다 다양하다. 자궁 입구가 2cm 열린 상태부터 완전히 열릴 때까지의 시간을 보면 초산모에서는 평균 8시간, 경산모에서는 평균 5시간이 걸린다. 진통 간격이 짧아질수록 자궁 입구는 점점 크게 열린다. 일반적으로 진통의 간격이 5~6분일 경우 자궁 입구는 5cm 이하로 벌어지고, 2~3분 간격일 때 7~9cm 정도가 된다. 또한 초산모인 경우에는 5cm ...2024.09.17
-
이대목동병원 감염2024.09.211.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감염 및 사망 사건 1.1. 사건 개요 2017년 12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목동병원(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신생아 4명이 잇달아 심정지로 사망한 사건이다. 신생아들은 상온에 방치되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Citrobacter freundii)에 오염된 주사 영양제를 맞고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이 날 저녁 약 1시간 30분 동안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있던 4명의 신생아가 심정지로 사망한 것이다. 환아들은 상온에 보관된 영양제를 투여받다 패혈증으로 사망하게 되었는데, 지질영양제 'SMOFlipi...2024.09.21
-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배액관의 종류와 사용법2024.09.19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1.1. 구역관리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는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수술실은 크게 제한구역, 준 제한 구역, 허용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에 따라 착용해야 할 복장이 다르다" 제한구역은 수술실, 수술준비실, 마취준비실, 회복실, 수술실 복도 등이며, 이 구역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은 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해야 한다. 준 제한 구역은 소독준비실, 외래환자 준비실, 갱의실 등이고 수술복장, 모자, 깨끗한 신발 ...2024.09.19
-
응급실 감염관리2024.09.131. 응급실 감염관리 현황 1.1. 응급실 감염의심환자 선별절차 응급실 감염의심환자 선별절차는 다음과 같다. 환자 내원 시 문진을 통해 감염력을 확인하고, Triage 직원이 보호구를 착용한다. 전염성 감염 질환이 없는 경우에는 표준주의를 적용하고, 전염성 감염 질환이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에는 격리구역으로 이동시킨다. 면역저하자의 경우 보호격리(역격리)를 실시한다. 격리구역으로 이동한 환자에게는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중 해당되는 격리주의를 적용한다. 공기주의에는 N95 마스크, 비말주의에는 외과용 마스크, 접촉주...2024.09.13
-
수술실2024.09.251. 수술실 기본 기구 및 장비 1.1. 기본 기구 1.1.1. Hemostat Hemostat은 출혈이 있는 혈관이나 조직을 꼭 짓거나 잡아서 지혈을 하는 도구이다. 주로 세 가지 종류의 hemostat이 존재한다. 첫째, Kelley hemostat은 보다 큰 혈관이나 조직을 압박하거나 잡을 때 사용한다. 둘째, Mosquito hemostat은 작은 조직을 잡거나 압박할 때 사용하며, 끝이 곧거나 굽어있는 형태로 되어있다. 셋째, Vessel clamp는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고 눌러주는데 이용하며, 혈관일 경우 지...2024.09.25
-
투약오류2024.10.051. 투약 오류의 정의와 발생 상황 1.1. 투약 오류의 정의 투약 오류는 약물 처방, 투여, 사용 또는 보관 시 의사, 보건의료인, 약사 및 환자가 저지른 실수이다. 투약 오류로 인해 질병에 걸리거나 질병이 악화될 수 있다. 1.2. 투약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투약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가 혼동하여 약물을 잘못 사용한 경우이다.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물을 잘못 인식하거나 투여 시기를 틀리는 등 약물 사용에 혼란을 겪게 되면 투약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의사가 잘못된 약물을 선...2024.10.05
-
소독(살균) 기전 및 소독법을 분류하고, 소독 시 고려할 사항과 주의사항에 대해 서술하시오2024.10.051. 소독 및 멸균의 원리와 방법 1.1. 소독(disinfection)의 개념과 원리 소독(disinfection)은 병원균의 감염력을 제거하거나 상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이다. 소독은 병원체의 생활력을 파괴하여 감염력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보통 소독은 높은 수준의 살균작용을 통해 달성되지만, 병원균의 아포에 대한 살균효과는 제한적이다. 소독의 기전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응고시켜 병원균체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든다. 둘째, 소독액은 병원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2024.10.05
-
청소와 면역력2024.09.251. 유산소 운동의 면역력 효과 1.1. 서론 최근 코로나19라고 불리는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전 세계 감염자가 400만명을 넘어서며 재앙처럼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19를 비롯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스스로 바이러스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 면역력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면역력이란 질병이나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몸을 스스로 방어하는 힘이다. 면역력에 대해 높아진 사람들의 관심에 맞춰 선천적인 면역력과 후천적인 관리를 통해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많은 논문들이 나오고 있다. 후...2024.09.25
-
주사실무2024.09.241. 감염예방을 위한 주사 실무 1.1. 주사 실무 개요 부적절한 주사나 수액 주입, 약물 주입과 같은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혈액을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와 병원성 미생물이 전파될 수 있다는 것이다. 1998년에서 2014년까지 미국에서는 약 50회의 혈액매개감염의 유행발생이 있었고 이로 인해 B형 간염과 C형 간염, 일부 세균성 감염에 약 700여 명이 감염된 적이 있었다. 이러한 B형 간염과 C형 간염의 유행발생은 안전 주사실무규정을 제정하고 강화할 필요성을 인식시키게 되었다"이다. 1.2. 감염예방을 위한 주사 실무 권고 감...2024.09.24
-
근육주사2024.09.241. 근육주사와 정맥주사 1.1. 피부의 구조와 기능 1.1.1. 표피 표피는 피부의 최외층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층이다. 표피는 매우 얇고 혈관이 없기 때문에 아래의 진피로부터 삼투와 확산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표피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에서 케라틴의 생성과 박리 과정을 조절하여 표피의 균형을 유지한다. 또한 표피에서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어 인종 간 피부색의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표피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1차 방어막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진...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