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윤동주 이육사 배경2024.11.301. 고려의 수도 개경(개성) 1.1. 개경의 성립 고려의 수도 개경(개성)은 918년 고려가 건국되면서 수도로 선정되었다. 개경은 고구려 시대부터 송악군으로 불리던 지역으로, 신라 후기까지만 해도 수도 경주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 태조 왕건의 조상인 호경이 처음으로 송악에 자리를 잡으면서 이 지역이 역사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후에 궁예가 905년 송악군을 수도로 정하면서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고려가 건국된 후 개경은 본격적으로 수도로 선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2024.11.30
-
고려 무신정권의 붕괴2024.11.241. 고려 무신정권의 전개과정과 의의 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 의종 24년(1170년) 음력 8월 30일에 상장군 정중부와 이의방, 채원, 이고, 이의민 등의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은 문신들의 차별과 문벌귀족사회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이 정변을 일으켰다. 정변의 발단은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했을 때 발생했다. 무신들은 보현원에 모여 있던 문신들을 공격하여 대량 살해했다. 이후 의종을 거제현으로, 태자는 진도현으로 유폐시킨 뒤 의종의 동생 왕호를 새 왕으로 세...2024.11.24
-
최씨 무신정권의 붕괴2024.11.251. 고려 무신정권의 이해 1.1. 무신정권의 성립 무신정권의 성립은 고려 중기 문벌귀족사회에서 무신들의 반발로 시작되었다. 당시 고려에서는 문신들에 비해 무신들이 차별받는 상황이 이어졌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무신들은 1170년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의종 24년(1170)에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하던 중에 문신 한뢰가 무신 이소응을 때리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격분한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키고 명종을 옹립하였다. 이 무신정변은 우발적인 것이 아니라 사전에 계획되어 있었는데, 이의방과 정중부 등...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