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생활속의 응급처치2024.10.251.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정지된 상태에서 흉부 압박, 인공호흡, 심장제세동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뇌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정지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일련의 과정이다. 심정지는 예측하기 어려우며, 특히 가정과 직장 등 의료 시설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60-80%에 달하므로 심정지의 첫 목격자는 주로 가족, 동료, 친구 등 평범한 일반인이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 경과하면 뇌의 비가역...2024.10.25
-
심폐소생술2024.10.141. 심폐소생술 개요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 심폐소생술이 시행된다 하더라도 모든 심정지 환자가 소생되는 것은 아니다. 1.2.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폐소생술의 주된 목적은 우리 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장기인 심장, 뇌, 그리고 그외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