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중세국어용비어천가2024.09.131. 중세국어의 특징 1.1. 음운 체계 1.1.1. 자음 체계 중세국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는 총 16개의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평음 계열에는 'ㅂ, ㄷ, ㅈ, ㅅ, ㆁ, ㄱ, ㅎ'이 있었고, 경음 계열에는 'ㅃ, ㄸ, ㅉ, ㅆ'가 있었다. 또한 격음 계열에는 'ㅍ, ㅌ, ㅊ'이 있었다. 이 외에도 'ㄹ, ㅁ, ㅂ'의 유음 및 비음 자음이 존재하였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현대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ㅸ'과 'ㅿ'이라는 독특한 자음들이 존재하였다. 'ㅸ'은 순경음 비읍(非읍)으로 발음되었고, 'ㅿ'은 ...2024.09.13
-
몽골어의 특징2024.11.081. 몽골어와 한국어의 비교 1.1. 인칭 종결어미 비교 1.1.1. 1인칭 종결어미 1인칭 종결어미에는 '-я³'와 '-сугай²'가 있다. '-я³'는 희망, 결의, 이행, 의도, 의향의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Би одоо сургуульд явъя"는 "제가 지금 학교로 갈게요"로 해석되며, 화자가 곧 학교로 가겠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Бид оюутнуудад туслъя"는 "우리가 학생들을 도와줄게"로, 화자가 학생들을 곧 도와줄 것이라고 약속하는 의미이다. 이처럼 '-я³'는 한국어의 청유형 ...2024.11.08
-
발음 교육 방안 베트남2024.12.121. 한국어 발음 교육의 과제 1.1.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어려움 현황 최근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약 70%가 한국어 발음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3].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 학습 시 겪는 어려움은 크게 자음과 모음 발음에서 나타난다. 자음 발음에서의 어려움은 비슷한 자음 구분의 어려움과 받침 자음 발음의 어려움으로 나타난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의 ㅂ, ㅍ, ㅃ과 같은 유사 자음 구분이 어렵고,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다양한 받침 자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받침 ㄹ 발음...2024.12.12
-
알타이어족의 특징2024.11.211. 알타이어족 언어의 특징 1.1. 알타이어족 언어 소개 알타이어란 우랄 산맥의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지역에서 온 언어들을 포함하는 언어 동조대의 영역으로, 19세기부터 시작한 오래된 언어 연구의 유명한 이론 중 하나이다. 이 어족은 중앙아시아의 알타이 산맥에서 이름을 따왔는데, 알타이 제어 이론은 학자들의 안정적인 학문적 지지를 받고 있지만, 일부 비교언어학자들은 알타이 제어 이론을 배척하고 있다. 18세기에 처음 제시된 알타이어족은 1960년대까지 널리 받아들여졌고, 많은 백과사전들과 책들에 여전히 남아 있지만, 1950년...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