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장애인 보건교육 재활2024.09.101. 장애인 보건의료 정책 1.1. 국내 장애인 보건의료 현황 1.1.1. 장애인 건강검진 이용률 현황 장애인 건강검진 이용률 현황은 비장애인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 이용률이 저조한 이유로는 교통의 불편, 경제적인 이유 등이 있었다. 즉, 건강 검진 기관이 장애인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등급 별 일반건강검진 비율을 살펴보면 1급과 2급의 장애인(중증장애인)의 수검률이 2014년까지도 50%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전체인구에 비해서도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2024.09.10
-
모자보건사업 문제점2024.10.011. 모자보건사업의 개요 1.1. 모자보건의 정의 1952년 WHO의 모자보건전문분과위원회에서는 모자보건을 "임산부로 하여금 건강한 상태로 정상 분만을 하도록 하며, 건강한 아기를 분만하여 육아의 시술을 배우고 적절한 수태조절방법으로 가정생활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모든 아동들을 적절한 건강관리와 충분한 의료 혜택을 받으며 사랑과 건강이 있는 화목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육성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모자보건사업은 모성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건전한 자녀의 출산과 양육을 도모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1986년 개정된 모...2024.10.01
-
모자보건실 업무2024.11.111. 모성보건사업의 변천과 미래 전망 1.1. 모성보건사업의 발전 과정 모성보건사업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1945년 보건부 예방과에 모자 보건계가 설치되면서 모성보건사업이 시작되었다. 이후 1946년 서울시 보건소 1개가 설립되면서 보건소 조직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1948년 보건부 의약과에서 모자보건사업이 전담되었고, 1956년 보건소법이 제정되면서 모자보건사업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1962년에는 모자보건과가 신설되어 사업 전담부서가 마련되었다. 1967년에는 읍·면에 유자격 조산원 152명이 배치되어 모자보건...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