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원내 기구및2025.03.011. 원내 기구 및 물품 소독·멸균 방법 1.1. 비위험 기구 및 일반물품 소독·멸균 방법 비위험 기구 및 일반물품 소독·멸균 방법은 다음과 같다. Suction bottle(흡인통)은 매 환자마다 또는 장기 사용 시 7일마다 세척 후 락스 100PPM에 5분 이상 침적하고 수돗물로 헹군 뒤 건조하여 사용한다. Suction catheter는 사용 후 폐기한다. 소변기와 대변기는 세척 후 락스 100PPM에 5분 이상 침적하고 수돗물로 헹군 뒤 건조하여 사용한다. 청진기, 체온계, 토니켓, EKG/EEG lead는 매 환자 사용...2025.03.01
-
데일리노트2024.11.071. 감염 관리 1.1. 소독과 멸균 소독과 멸균은 모든 감염 관리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과정이다. 소독은 세균의 아포(spore)를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멸균은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소독제와 멸균 방법이 사용된다. 소독제의 종류와 용도, 장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0% alcohol은 중간 정도의 소독 효과를 지니고 있어 체온계, 청진기 표면, 바이알 뚜껑 등에 사용된다. 장점은 작용 시간이 빠르고 착색되지 않지만, 단점은 ...2024.11.07
-
수술실 실습일지 배운점2024.09.231. 수술실 실습 1.1. 외과적 손 씻기(surgical hand scrub) 외과적 손 씻기(surgical hand scrub)란 기계적 그리고 화학적 방법으로 손을 씻는 것으로, 간호사와 의사가 수술에 들어가기 전 손과 팔의 피부에 있는 일과성 미생물(transient flora)과 상주성 미생물(resident flora)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액과 비누를 묻힌 솔로 손과 팔을 닦은 후 물로 헹구어 내게 된다"이다. 외과적 손 씻기 전에 반드시 반지, 시계와 팔지 등을 제거해야 하며, 손등에 비해 손끝의 오염도가 심하고...2024.09.23
-
수술실 물품관리 및 소독방법 정리2025.05.251. 서론 수술실은 병원 내에서 가장 감염 위험이 높은 곳 중 하나이다. 따라서 수술실 내 물품 관리와 소독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수술실 물품 관리와 소독 방법, 수술실 환경 관리 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수술실 내 물품 관리와 소독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병원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이 보고서의 핵심 목적이다. [] 2. 수술실 물품관리 및 소독방법 2.1. 중앙공급실 물품관리 및 공급절차 병원의 중앙공급실은 각 부서에서 필요한 모든 소독품, 위생재료, 소모품을...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