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임상병리사 혈액2024.10.0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 및 분야 1.1. 임상병리검사의 정의 임상병리검사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 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즉, 기초과학과 기초의학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고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임상병리검사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의 ...2024.10.01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정리 - 조직병리학, 임상미생물학, 수혈학2024.10.111. 병리학 1.1. 조직학 조직학은 인체를 구성하는 각 장기와 조직의 미세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직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포들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여 조직의 기능을 담당한다. 조직학에서는 이러한 세포와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한다. 주요 연구 대상은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등이다. 상피조직은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층으로, 피부, 점막, 장기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결합조직은 세포 간 기질이 풍부하며 지지, 저장, 방어 등의 기능을 한다. 근육조직은 수축력을 가지고 있어 움직임...2024.10.11
-
임상병리 임상화학2024.09.301. 임상병리 검사 1.1. 임상병리학의 정의와 특징 임상병리학은 기초의학 분야에 속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방을 위해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가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은 환자의 병리학적 상태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검사 결과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찾아내며, 질병의 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치료와 예후 판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임상병리학은 화학, 생물학, 물리학 등의 기초의학 지식을 활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필요한 검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임상의들은 환자의...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