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생명기술, 찬성, 근거2024.09.201.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고찰 1.1. 줄기세포의 정의와 종류 1.1.1. 성체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는 우리 몸속에 들어있으나 각 조직에 극소량만 존재하는 줄기세포이다. 성체줄기세포는 다중분화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 종류의 다른 세포를 생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까지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가 많은 이유는 이것이 다른 줄기세포들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성체줄기세포로는 유전자 치료 연구에 이용되는 골수, 탯줄 등에 있는 조혈줄기세포와 재생의학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중간엽기질세포가 있다. 조혈줄기세포는...2024.09.20
-
2000년대 국내 외 이슈화된 생명윤리 이슈가된 사건2024.09.281. 배아복제의 과학적 의의와 사회 윤리적 입장에 관한 연구 1.1. 서론 1.1.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배아복제의 과학적 의의와 사회 윤리적 입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의 배경을 제시하는 데 있다" 생명체의 복제, 특히 포유동물의 복제는 세기말 최대사건의 하나가 될 만큼 커다란 이슈였으며 그만큼 논란도 많은 주제이다. 그러나 관심도에 비하여 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대중매체를 통한 왜곡 및 과장으로 말미암아 발전적인 논의가 오히려 금기시 되는 상황에 놓여있다. 권위있는 과학잡지 사이언스는 1999년 인류가 거...2024.09.28
-
장기이식 윤리적 문제2024.11.051. 장기이식의 개념과 윤리적 문제 1.1. 장기이식의 정의 및 종류 장기이식이란 질병이나 사고로 기능이 떨어지거나 소실된 장기를 신체 내 장기나 타인으로부터 받은 장기로 대체하는 시술이다. 장기이식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자가이식은 자신의 장기나 조직의 일부를 자기 자신에게 이식하는 경우를 말한다. 자가 조혈모세포, 자가 피부 이식, 자가 골 이식 등이 이에 속한다. 동종이식은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받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생체 기증이나 뇌사자로부터 장기를 기증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종이식은 사람이 아닌 ...2024.11.05
-
이종장기이식2024.11.121. 서론 장기이식(Organ Transplantation)은 약물치료나 외과수술 등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치료되기 힘든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장기를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을 말한다. 대체로 뇌사자의 장기나 또는 기증자에게 큰 무리가 없는 경우에는 건강한 생체의 장기를 이식한다. 이식 대상 장기는 크게 심장, 간, 신장, 폐, 췌장 등의 고형 장기와 골수, 뼈, 심장판막, 인대, 연골, 각막 등의 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장기이식은 올바르게 시행될 경우 말기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시술로...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