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유도2024.09.221. 유도의 개요 및 기본동작 1.1. 유도의 의의와 목적 유도는 무기를 갖지 않고 맨손으로 상대와 서로 맞잡고 매치고, 누르고 조르고 또한 꺾기 등으로 신체를 단련하고 정신을 수련하는 격투기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유능제강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 한 것이라 하겠다. 유능제강이란 유가 반드시 강을 제압한다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서 강을 제압한다는 것이다. 즉 심신의 힘을 가장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며, 이를 공격과 방어의 기술에 과학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도는 부단한 수련 과정을 통하여 무술,...2024.09.22
-
유도2024.10.171. 유도 1.1. 유도의 정의 유도는 2명의 선수가 온몸을 사용하여 상대를 공격하거나 공격해오는 상대의 허점을 찔러 승패를 겨루는 스포츠로 격투경기로 구분된다"." 일본의 가노지고로는 힘을 능숙하게 이용하는 것이 유의 원리라고 하였는데, 부드러운 유, 길 도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도라고 할 수 있"." 상대의 힘을 내 힘으로 활용하여 역학적인 원리로 사용하면 작은 힘으로도 능히 큰 힘을 제압할 수 있다"." 1.2. 유도의 정신 1.2.1. 정력선용 정력선용(精力善用)이란 강한 훈련을 통하여 얻은 건강한 체력, 건전한 정신력을...2024.10.17
-
유도의 기원과 규칙 분석2024.10.301. 유도의 기원과 역사 1.1. 한국에서의 유도 기원설 1.1.1. 수박(手搏) 나현성은 수박을 태권이라고 단정하고 있다. 그는 무용총의 현실벽화의 그림과 무예도보통지의 권법 그림과 권법조의 내용, 고려사 열전에 보이는 이의민, 최충헌, 정증부전, 그리고 해동죽지와 재물보에 보이는 수박의 내용을 검토하여 수박의 기본적인 성격을 규정하였고, 해동죽지의 에 이르러서는 수박과 택견의 관계를 동일시하였다. 그는 이러한 여러 가지 문헌을 검토하여 수박을 무사의 호신술로서 또는 기본 무예로서 삼한시대로부터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생활수...2024.10.30
-
유도의 역사2024.10.301. 유도의 역사 1.1. 유도의 기원 유도의 기원은 정확한 시기와 창시자를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의 고유한 무술로 알려진 '수박'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 시대 산상왕(A.D. 197~226)때의 왕도였던 환도성 각저봉 현실의 벽화에 맨손으로 겨루는 장면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고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유사한 형태의 무술이 발전해왔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시대에 이르러서는 이 무술이 '수박' 또는 '각저'라 불리며 성행했고, 특히 고려 제15대 숙종왕(1097~1106)대에는 일종의 정재(呈才)로 음악과 더불...2024.10.30
-
유도 국가대표 선수 준비 사항2024.10.301. 유도 1.1. 유도의 정의 유도는 2명의 선수가 온몸을 사용하여 상대를 공격하거나 공격해오는 상대의 허점을 찔러 승패를 겨루는 스포츠로 격투경기로 구분된다. 유도의 의미와 관련하여 일본의 가노지고로는 힘을 능숙하게 이용하는 것이 유의 원리라고 하였는데, 부드러운 유, 길 도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도라고 할 수 있다. 상대의 힘을 내 힘으로 활용하여 역학적인 원리로 사용하면 작은 힘으로도 능히 큰 힘을 제압할 수 있다. 1.2. 유도의 정신 1.2.1. 정력선용(精力善用) 정력선용(精力善用)이란 강한 훈련을 통하여 얻은 건강...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