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고대근동문화와 구약의 배경2024.09.231. 고대 근동의 역사와 종교 1.1. 구약성경의 배경: 고대근동의 세계 1.1.1. 고대근동의 지리적 경계 '고대근동'(Near East)은 지중해의 동쪽 해안에 위치한 오토만 제국의 잔여 영토를 지칭하기 위해 19세기에 사용됐으나 오늘날은 중동(Middle East)이라는 말을 더 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 용어와 지리적 경계도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중동의 고대 역사가들과 고고학자들은 근동이라는 말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고대근동학(Ancient Near Eastern Studies; ANES; AO)은 고대 이...2024.09.23
-
지중해문화산책2024.10.081. 오리엔트 문명과 지중해 문명의 관계 1.1. 오리엔트 문명의 발전과 전파 오리엔트 문명의 발전과 전파는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파라오 문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기원전 32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시작된 수메르 문명은 세계 최초의 도시 국가를 건설하였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발달을 통해 오리엔트 문명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아카드, 바빌로니아, 앗시리아 등 여러 왕국이 등장하며 오리엔트 문명이 더욱 발전하게 된다. 특히 앗시리아는 기원전 7세기경 오리엔트 전체를 최초로 통일하여 메소포타미아의 다양한 문화를 ...2024.10.08
-
클릭 서양미술사2024.09.261. 서양미술사의 개관 1.1. 선사시대의 미술 1.1.1. 회화와 조각 선사시대의 회화와 조각은 원시인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이 시기의 회화는 주로 동굴벽화의 형태로 나타났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스페인 북부의 알타미라 동굴과 프랑스 남부의 라스코 동굴을 들 수 있다. 알타미라 동굴벽화는 마르셀리노라는 사람이 그의 딸과 함께 동굴 탐험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하였는데, 생동감 넘치는 동물 그림들이 발견되어 전문가들에 의해 기원전 2만 5천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동굴벽화는 사용된 재료와 제작 ...2024.09.26
-
이라크의 역사2024.10.211. 서론 이라크는 4대문명의 발상지인 '강사이의 땅'(Land of two Rivers)이라는 의미의 메소포타미아 평야를 끼고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이 국토의 중심을 흐르고 있다. 이라크의 수도는 바그다드이며, 면적은 44만 2,000km2 로 한반도의 약 2배에 달하는 국토 면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그다드(Baghdad)는 '신에 의해 세워졌다'는 페르시아어의 어원을 갖고 있으며, 아랍인들은 '평화의 도시'라 부르고 있다. 이라크는 동쪽으로 이란, 서쪽에는 시리아, 요르단, 남쪽은 사우디와 중립지대, 쿠웨이트, 그리고 ...2024.10.21
-
메소포타미아 문명2024.08.211. 서론 1.1.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요성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명 중 하나로, 기원전 3500년경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유역에서 성립되었다.""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수메르인에 의해 처음으로 건설되었고, 이후 아카드,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등 다양한 민족이 이 지역을 지배하며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왔다.""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세계 최초의 도시 문명, 쐐기문자, 세계 최초의 성문법전인 함무라비 법전, 태음력과 60진법 역법 등 인류 문명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특히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핵심...2024.08.21
-
구약 지혜문학의이해2024.10.141. 구약지혜문학의 이해 1.1. 지혜의 정의와 방법론 1.1.1. "성서적 지혜"의 정의와 방법론 "성서적 지혜"는 수많은 잠언들, 훈계들, 그리고 상징적 언어와 같은 특정한 문학적 형태들과 속죄보다는 창조에, 신적인 사역보다는 인간적인 경험과 이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주제들, 외적으로 질서정연한 세계 속에서 사는 법은 무엇이고 그 질서가 깨어질 때 대처하는 법은 무엇인가? 등의 문학적 주제들을 함축하고 있다" 성서적 지혜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신앙규범들은 궁극적으로는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으며, 형식과 내...2024.10.14
-
서양건축사2025.01.121. 서양 건축사 1.1. 원시 건축 선사시대 인류는 생존을 위해 자연 속 동굴과 같은 은신처를 이용했다. 17,000년 전 동굴 벽화와 조각상이 발견되어 당시 원시인들의 높은 지적 수준을 엿볼 수 있다. 신석기 시대에는 원활한 식량 확보를 위해 큰 강이나 바닷가에 정착하면서 원형의 '움집'을 지었다. 움집은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올리는 구조로 만들었으며 내부에는 식량 저장을 위한 구덩이와 화덕이 있었다. 4~5채의 움집이 모여 하나의 부락을 이루었다. 예리코의 돌탑은 신석기 초기 권력 투쟁의 증표이자 주민들을 연결하는 요소로...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