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건축도시대학원 실내건축학과2024.09.231. 웰컴시티 1.1. 웰컴시티 소개 웰컴시티는 서울시 중구 장충동2가에 위치한 건축물로, (주)웰컴의 사옥, 식당, 갤러리 용도로 사용되며 규모는 지하 3층, 지상 5층이다. 대지 면적은 381평, 연면적은 1,035평 규모이다. 이 건축물은 2000년 4월에 준공되었으며, 건축가는 승효상(이로재설계)이고, 시공사는 삼협건설이었다. 웰컴시티의 주 구조는 내후성 강판(코르텐) 및 노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다. 건축가 승효상은 코르텐 강판의 아름다운 색채로 인해 외부 모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익어가는 효과를 의도했다고 하였다...2024.09.23
-
김수근 건축 특징 및 경동교회 사례2024.10.181. 김수근과 경동교회 1.1. 김수근의 생애와 건축 활동 김수근은 1931년 2월 20일 함경북도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에 입학하였지만 한국전쟁의 발발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게 되었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예술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경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또한 동경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김수근은 1959년 국회의사당 현상설계에 참여하여 1등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귀국하여 '국회의사당 설계사무소'를 개설하였다. 그는 1963년 최순우와 만나면서 한국의 미와 멋에 대해 ...2024.10.18
-
김수근 건축가 생애와 대표 작품 분석2024.10.181. 작품선정 1.1. 작품선정 이유 건축이 다른 예술장르와 다른 점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의 현장이라는 점이다. 사람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머물고 떠나며 모이고 흩어지면서 삶을 엮어간다. 그 과정은 막혔거나 열려있는 공간과 공간을 끊임없이 왕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공간들을 품고 있는 건축은 다시 가깝고 먼 주변의 다른 건축들과 조우하고 길과 어울리며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근원인 자연을 만난다. 그것은 마치 자연과 인간이 함께하여 흐르는 유쾌한 드라마와도 같다. 건축의 안을 이루는 공간과 바깥인 자연환경은 그래서 건축의 영원한 ...2024.10.18
-
경동교회와 김수근을 통한 현대건축 특징 분석2024.10.181. 김수근의 건축 세계 1.1. 김수근의 초기 건축 - 현대 건축의 시초 김수근은 1931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나 8세 무렵 서울의 북촌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1950년 서울대 건축학과에 입학하였으나 한국전쟁의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고 1954년 동경예대 건축과에 입학하게 된다. 이 시기 그는 스승인 요시무라 준죠와 선배인 단게 겐죠를 만나며 건축인생에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단게 겐죠의 영향은 김수근의 국회의사당 설계안에 반영되기도 하였으며, 이후 그의 작품들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김수근의 국회의사당 설계안은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