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2,32024.12.191. 서론 문학사란 문학의 통시적 흐름에 체계와 방향을 부여하는 작업이라 할 때 각 시대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해명은 시대구분의 문제에 귀결된다. 시대구분을 통해 문학사는 문학의 역사적 전개양상의 객관적 원리와 그 운동법칙을 밝힐 수 있다. 때문에 문학사를 쓴다는 자체가 결국 시대구분의 문제로 귀착할 만큼 시대구분은 문학사 기술의 방법적인 핵심으로 부각된다. 시대구분은 문학사 기술방법론의 핵심적인 문제이면서 동시에 방법론 이상의 역사적 해석과 전망에 관한 문제이다. 한 시대의 문학사 전개를 위한 명확한 시대구분은 어려운 일이다. ...2024.12.19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2,32024.12.191. 북한문학과 한국문학의 차이점 1.1. 북한의 문예이론에서 발견되는 특징 1.1.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북한의 문예이론에서 발견되는 특징 중 하나인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일제 치하의 조선에서 새로운 형식의 연극으로 전해졌다. 일본 유학생과 문인들을 통해 먼저 사회주의가 퍼졌으며, 이는 소인극, 프로극, 이동식극장을 통해 농민, 노동자 등의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전달되었다. 당시 주를 이루었던 창극, 신파의 형식과 달리 사회주의연극은 현실의 객관적 재현을 신조로 한 서양의 사실주의를 기본 양식으로 했다. 사회주의의 이론을 사실...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