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개
-
생애말기 돌봄과 임종간호2024.09.111. 아동 임종 간호 1.1. 서론 임종 간호란 완화 간호의 일부로써 임종 환자의 삶의 질과 개인적 위엄을 유지하며, 임종의 순간을 평온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에게 총체적인 돌봄을 제공하여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다. 최근 인간다운 죽음 즉, '삶의 질'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성인 말기 환자뿐만 아니라 아동 말기 환자에 대한 간호 제공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6년 출생, 사망 통계 결과에서 사망 장소별 사망자 수 구성비를 살펴보면 의료기관이 74.9%로 주택 13.5%, 기타 장소 ...2024.09.11
-
사전연명의료에 대한 나의 생각2024.09.121. 웰다잉(well-dying)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1. 웰다잉(well-dying)의 정의와 개념 웰다잉(well-dying)이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가치 및 품위를 지키며 생을 마감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좁게는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의미하고, 넓게는 일상에서 죽음에 대해 성찰하고 준비하는 동시에 현재를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는 과정 전반을 의미한다. 최근 노인인구 증가 및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죽음의 질을 어떻게 확보할지에 관심이 높아지며 국내외에서 일종의 트렌드이자 문화로 받아들여지...2024.09.12
-
생애말기환자관리2024.09.20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개념 및 현황 1.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개념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에 대한 완치적 목적의 치료가 아닌, 삶의 질에 목적을 둔 총체적 치료와 돌봄"이다. '호스피스(hospice)'는 임종을 앞둔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심리적·영적 안정을 지원하는 기부와 자원봉사 성격의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보다 확장된 '완화의료(palliative care)'개념을 제시하였는데, 완화의료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과 관련한 문제에 직면한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 예방과 완화를 ...2024.09.20
-
말기환자 관리와 간호 교육2024.09.201. 생애 말기환자 관리 1.1. 생애 말기환자의 대상 생애 말기환자의 대상이란 암 또는 만성 질환의 말기 상태로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명의 의사에 의해 생존 기간이 6개월 이하로 예상된 환자를 말한다. 이들은 심폐소생술거부확인서를 작성하고 환자 또는 보호자가 완화 진료에 대해 동의하여 완화 진료에 의뢰된다. 또한 기대여명을 예측할 수 없더라도 질병의 진행으로 인한 통증 및 증상 완화가 필요한 환자도 포함된다. 이러한 생애 말기환자들은 암 또는 만성 질환으로 인해 더 이상 적극적인 의학적 치료의 대상이 되지...2024.09.20
-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생각2024.09.291.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이해 1.1.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필수적인 개념이다. 죽음은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생명활동이 정지되어 더 이상 원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예전에는 죽음의 의미를 단순히 생물학적인 사망으로만 인식했지만, 현대에 와서는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죽음에 대한 개념이 확장되었다. 의학적으로 죽음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임상적 죽음은 호흡, 뇌 활동 그리고 심장이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둘째, 뇌의 죽음은 대뇌의 신 피질을 비롯...2024.09.29
-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생각2024.10.051.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이해 1.1.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생명체로서 경험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죽음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관점에서의 사망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과 철학적 차원에서 깊이 있게 고려되어야 할 주제이다. 죽음의 사전적 정의는 '생명활동이 정지되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생물의 상태로서 생(生)의 종말'이다. 과거에는 죽음을 주로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지만, 시대가 변화하면서 인공생명유지장치를 이용한 생명연장, 안락사, 뇌사와 장기이식 등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이...2024.10.05
-
안락사 법적문제2024.09.281. 안락사의 개념 1.1. 안락사의 정의 '안락사'(安樂死)로 흔히 번역되는 영단어 "euthanasia"는 그리스어로 직역하면 "아름다운 죽음"이란 뜻이다. 현대의 "유타나시아"는 원어의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 불치의 중병에 걸린 등의 이유로 치료 및 생명 유지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생물에 대하여 직·간접적 방법으로 생물을 고통 없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인위적인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안락사는 회복될 가능성 없이 의미 없는 삶을 연장하는 환자를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죽음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2024.09.28
-
싱가포르 호스피스정책2024.10.041. 호스피스 제도에 관한 고찰 1.1. 서론 최근에 국가 경제가 일시적인 어려움에 빠져 있기는 하지만 국민 생활수준이 점차 높아지면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말기 환자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와 더불어 시민운동의 확산으로 국민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문제가, 먹고 입고 잠자는 문제와 마찬가지로 기본권의 하나로 인식되게 되었고, 정부로서도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호스피스의 제도화가 더 이상 뒤로 미룰 수 없는 시급한 문제가 아니라고...2024.10.04
-
싱가포르호스피스완화의료2024.10.041. 호스피스 개요 1.1. 호스피스의 정의 및 역사 호스피스는 라틴어의 "호스피탈리스(hospitalis)"와 "호스피티움(hospitium)"에서 유래된 말로, 여행 순례자들에게 쉼터와 숙박을 제공하던 중세 유럽의 작은 교회를 의미했다. 그러한 교회에서 병든 여행자들이 치료와 간호를 받게 되면서, 호스피스라는 용어가 이들을 위한 간호 시설 전반을 지칭하게 되었다. 오늘날 호스피스는 임종을 앞둔 환자들이 편안하고 인간답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돌봄과 안락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호스피스는 환자의 남은 생에 걸쳐 인간...2024.10.04
-
임종간호보고서2024.09.271. 임종과 호스피스 간호 1.1. 임종의 개념과 대상자의 심리적 반응 임종이란 "장사將死", 즉 "죽음에 임해서", "사망하기 바로 전에"라는 뜻을 가진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종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첫째는 죽음을 앞둔 부모의 손발을 잡고 숨이 끊어지는 것을 지켜보는 의식이며, 둘째는 첫째 의미가 일반화된 것으로, "숨을 거둔다"는 뜻이다. 임종에 대한 태도는 종교적, 사회문화적, 개인의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임종을 맞이하는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정서는 공포이다. 이 공포는 육체적 고통에 대한 공포, 사랑하...2024.09.27